앤아더스토리즈, 뉴이어 리미티드 컬렉션 런칭

Market

 

앤아더스토리즈(& Other Stories)가 2024년을 맞이해 뉴이어 리미티드 컬렉션을 선보인다. 이 컬렉션은 클래식하고 시크한 룩에 리본, 진주, 자수 등 사랑스러운 디테일을 더한 점이 특징이다. 메탈 플로럴 자수가 장식된 새틴 스커트 슈트, 퍼 재킷, 파이핑이 있는 드레스를 비롯해 리본 새틴 백과 진주 장식 헤어 밴드 등 액세서리까지 총 16개 아이템으로 구성되었다. 로맨틱한 감성을 담은 앤아더스토리즈 뉴이어 리미티드 컬렉션은 오프라인 및 온라인 스토어에서 만날 수 있다.

 

산드로, ‘용’ 모티브로 한 캡슐 컬렉션 출시

 

산드로(SANDRO)가 ‘용의 해’를 기념해 용을 모티브로 한 캡슐 컬렉션을 출시했다. 후디, 티셔츠, 팬츠, 쇼츠, 키 링 등으로 구성된 이번 컬렉션은 가죽 소재의 용 패치가 곳곳에 부착된 것이 특징이다. 여성 컬렉션에는 이 외 트위드 재킷, 베스트, 드레스 등이 포함됐다.

산드로가 올해 처음으로 선보인 캡슐 컬렉션은 현재 브랜드 공식 웹 사이트(sandro-paris.com) 및 전 세계 일부 오프라인 매장에서 구매할 수 있다.

 

Peach Fuzz: 팬톤의 올해의 컬러에 대한 세 가지 트렌드 분석

Trend

Zimmerman RTW SS24 & Casablanca SS24 Credits: ©Launchmetrics/spotlight

 

부드럽고 은은한 복숭아빛 색상. 팬톤(Pantone)은 '피치 퍼즈(Peach Fuzz)'를 2024년 올해의 색상으로 선언했다. 팬톤은 이 컬러를 "마음과 몸과 영혼을 풍요롭게 하는 온화한 정신"을 가진 것으로 묘사하며, 많은 사람들의 삶에서 현재의 "분란의 시간"을 보상하기 위한 "진심 어린 친절"을 반영하기 위해 이 색상이 선택되었다고 말했다.

이에 내년 이 컬러 트렌드가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분석을 위해 패션 유나이티드는 피치 퍼즈에 대해 세 명의 트렌드 전문가들과 이야기를 나누었다.

점점 더 뚜렷해지는 남성복의 여성화

크리스틴 볼랜드(Christine Boland): "저는 현재 2025년 여름을 위한 트렌드 분석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2024년 피치 퍼즈색상은 아름답고 조화롭지만 눈에 띄는 새로운 색상을 찾고 있었기 때문에 트렌드와 잘 맞습니다."

그녀는 “AI와 '진짜, 합성과 천연이 함께 있는 곳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새로운 컬러 이미지 팬톤 13-1023 TCX 피치 퍼즈가 나타납니다."라고 계속했다. "이것은 밝은 색상의 다양한 키컬러와 이러한 계열의 클린한 소프트 컬러의 다채로운 조합에 관한 것입니다."

볼랜드는 피치 퍼즈 컬러가 "성별과도 전혀 상관없습니다"고 하며, 그것은 햇살이 비치는 것처럼 밝은 색이다 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더 많은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지기 전, 시간이 좀 필요한 색입니다. 아마도 처음에는 비슷한 느낌의 부드러운 분홍색과의 조합을 나타날 것입니다."라고 볼랜드는 말했다.

Balmain SS24, Cowan SS24, Arunaz SS24 Credits: Launchmetrics Spotlight.

Jil Sander SS24, Dolce Gabbana SS24, Newleaper SS23. Credits: Launchmetrics Spotlight.

에드윈 반 덴 훅(Edwin van den Hoek) : "남성복이 여성화되는 경향이 점점 더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즉, 전통적으로 여성 패션과 연관된 요소들, 색상들, 또는 직물들이 남성복에서 더 흔해지고 있습니다. 피치 퍼즈는 이 트렌드에 맞는 컬러입니다.”

그는 이어 "2024년 여름 컬렉션에서는 파스텔 색조에 중점을 둘 것"이라고 말했다. "이 색상들은 여름 정장의 보완 소재나 아우터의 경우 테크니컬하고 가벼운 투명 직물, 셔츠와 폴로의 경우 부드러운 저지로 사용될 것입니다."

Son Jung Wan SS24, Lucas Leao F24, Anaya FW23 Credits: Launchmetrics Spotlight.

얀 에이지링크(Jan Agelink) : "저는 이 색상이 매우 예쁜 색이라고 생각합니다. 주황색과 분홍색 사이의 미묘한 색상은 일출과 일몰 색상과도 비슷한 라인을 그리고 있습니다. 피치 퍼즈는 놀라움과 산뜻함을 느끼게하며, 컬러 연구소 팬톤 또한 언급했듯 그것은 우리가 [인간으로서] 필요로 하는 것들에 부합합니다."

"동시에, 우리(편집자 주: 트렌드 예측 기관인 Buro Jantrendman)는 어두운 색상이 여기서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파란색과 초록색은 피치 퍼즈 컬러와 거의 정반대의 보색입니다. 따라서 배터리를 충전하는 이 가볍고 밝은 색상만이 약간 일방적으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견고함을 위해 이와 대조적인 어두운 색상이 필요합니다."라고 그는 강조했다. 트렌드 리서처는 향후 몇 년 동안 더 많은 어두운 색상들이 사용될 것으로 예상한다.

에이지링크에 따르면 “피치 퍼즈는 모두를 위한 컬러는 아닙니다. 패션과 인테리어에서 이 컬러는 주로 다른 색상과의 조합으로 보여질 수 있을 것입니다."

MRZ SS24, Ihab Jiryis FW23, Mugler SS24 Credits: Launchmetrics Spotlight.

Louis Vuitton SS24, Coperni SS24, Adeline Andre Haute Couture Fall 2023 Credits: Launchmetrics Spotlight.

Balmain Pre-Fall Men Off Season 2024 Credits: ©Launchmetrics/spotlight

마지막으로 팬톤(Pantone)은 이미 여러 브랜드와 협업하여 이 새로운 트렌드 색상의 제품을 출시했다. 아래에서 트레이너 브랜드 카리우마(Cariuma)의 트레이너와 Shades by Shan의 매니큐어 컬러를 피치 퍼즈로 한 것을 볼 수 있다.

Cariuma x Pantone Release The Official Colour Of The Year 2024 Sneaker Credits: Cariuma

Cariuma x Pantone Release The Official Colour Of The Year 2024 Sneaker Credits: Cariuma

Pantone 'Peach Fuzz' collaboration with Shades By Shan Credits: Pantone

팬톤이 올해의 컬러를 선정해온 것은 이번이 25번째이다. 2023년에는 레드 핑크 팝 색상의 비바 마젠타(Viva Magenta), 2022년에는 퍼플 색상의 베리 페리(Very Peri)가 올해의 컬러로 선정됬었다

 

출처 : fashionunited.uk

핀터레스트, 2024년 트렌드 예측 발표

Trend

Credits: Courtesy of Pinterest

 

최근 트렌드가 분당 백만 마일을 이동하는 것처럼 매우 빠르게 변화하는 지금, 핀터레스트는 패션, 뷰티 등에 걸힌 2024년 트렌드에 대한 예측을 발표했다.

핀터레스트의 5억 명에 가까운 플랫폼 방문자가 생성한 다양한 검색 알고리즘 분석을 기반으로, 현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부분과 곧 다수의 소비자의 레이더망에 들어올 것들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핀터레스트의 예측은 적중해 왔다. 2023년에 예측란 주목할 만한 트렌드 중 하나는 패션계의 울트라 페미니티(ultra-femininity)로, 이는 이후 패션 위크 및 소셜 미디어 트렌드에서 자주 볼 수 있었던 다양한 리본들과 레이스 모티브 및 주름 장식들로 나타났다.

패션 업계 전망

Bow stacking. Credits: Courtesy of Pinterest

올해도 여성들의 리본에 대한 관심은 "Bow Stacking"로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리본 의상"과 "리본 목걸이"와 같은 검색량이 190%와 180% 증가하였고, 이어서 2024년은 Sandy Liang과 같은 브랜드의 주름진 디테일에 대한 사랑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며 절제되지 않은 맥시멀리스트 패션의 일환으로 헤어, 신발, 가방 같은 액서서리 및 전체적인 룩에도 장식된다.

또한 핀터레스트는 2024년 남성 패션에서는 주로 Z세대와 부머세대 사이에서 "할아버지 스타일(grandpa core)”를 수용하고 그들의 옷장에서 자신들의 나이에 맞는 별나고 표현적인 요소를 가져올 "절충주의 할배 패션(Eclectic Grandpa)"의 출현에 주목했다. 70년대 스타일의 복고풍 스테이플과 레이어드 카디건을 포함한 이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스타일은 130%의 검색량 증가를 보여준다.

빈티지한 것에 대한 니즈는 업사이클링 트렌드로 이어져 소비자들이 영리해지고 중고 의류뿐만 아니라 자신을 위한 중고 소재를 찾고자 하는 욕구를 보여준다. 2010년대의 DIY 유행과 유사하게, "Give a Scrap"은 부머세대와 X세대 모두를 위한 다가오는 패션 프로젝트가 될 것으로 보인다. "폐기물 봉제 패턴"와 "짜투리 원단"과 같은 검색량이 모두 80% 증가하면서, 소비자들은 그들의 개인적 패션 접근 방식으로 지속 가능성을 염두해 두고 있다.

Hot metals. Credits: Courtesy of Pinterest

2024년에는 금속 주얼리와 아방가르드한 패션에서 메탈릭 컬러 작업들은 높은 수요를 보일 예정이다. 핀터레스트는 보고서에서 “Z세대와 밀레니얼이 좀 더 하드코어한 스타일을 위해 중성적 스타일을 사용하였고 이에 메탈릭은 2024년에 주류로 진출할 것"이라고 썼다. "메탈릭 코르셋"과 "실버 목걸이 레이어드"와 같은 인기 있는 검색어는 메탈 하드웨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을 나타내지만 질감이 있는 종류는 알루미늄 가구와 메탈릭 네일 아트에서도 고려되고 있다.

"Make it big" 트렌드는 또한 소비자들이 액세서리와 헤어스타일 모두 대담하고 더 볼드한 실루엣을 찾고 있어 메탈 제품의 성장을 더욱 가속화 시키고 있다. 이는 "chunk hoop"과 "sculptural jewellery(조각같은 주얼리)"과 같은 검색어 서치가 널리 퍼져 있음을 시사한다.

뷰티업계 전망

Blue Beauty. Credits: Courtesy of Pinterest

패션과 마찬가지로 뷰티는 네티즌들이 그들의 의식을 형성하고, 쇼핑할 상품을 찾고, 참고할만한 새로운 모습을 서치하기 위해 핀터레스트를 자주 사용하는 또 다른 주요 카테고리이다. 뷰티 및 라이프스타일 제품의 "셀프 케어" 검색어 급증의 연장선상에서, "헤드 투 글로우"는 사람들이 정교한 스킨케어 루틴에서 벗어나 바디케어에 더 많은 투자를 시작했으며 이제 대중 관심을 지배할 것으로 예상된다. "보디케어"라는 용어 자체가 845% 증가했고 "보디 스킨케어 루틴"은 1,025%나 증가했기 때문에 "부머세대와 Z세대는 럭셔리 스킨케에 제품과 집에서의 스파 경험을 반으로 줄일 것"이라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또한 핀터레스트는 "아쿠아마린 메이크업이 다시 돌아왔고 그 어느 때보다 과감해졌다"며, 60년대를 떠올리게 하는 블루 색상이 2024년 잠재적 아름다움을 지배할 것이라고 말했다. Z세대와 밀레니얼 세대는 과거의 미학에 끊임없이 매료되어 그 시절의 빈티지에서 영감 받은 이 트렌드를 주동하고 있다. "아쿠아 메이크업 룩"과 "Light blue prom make-up(푸른색 졸업식 파티 화장)"과 같은 검색량은 각각 100%와 70%까지 치솟았다.

 

출처 : fashionunited.uk

2023년 미국 온라인 매출 1조1000억 달러 돌파, 10년 만에 가장 느린 성장

Market

 

상무부에 따르면, 미국의 전자 상거래 매출은 2023년에 1조 1천억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것은 2022년에 기록된 1조 달러 이후 7%의 성장률에도 불구하고 2009년 경기 침체 이후 가장 느린 성장률이다. 마켓플레이스 펄스(Marketplace Pulse)의 분석에 따르면 현재 전자 상거래 환경은 팬데믹 이전 예측을 기반으로 한 이론적 추세보다 14% 높은데 최근의 인플레이션을 고려하면 올해 7%의 성장률은 훨씬 더 작게 느껴진다.

초기에 시장에 커다란 변화를 일으켰던 팬데믹으로 인한 전자 상거래의 급증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 마켓플레이스 펄스에 따르면 아마존(Amazon), 월마트(Walmart), 셰인(Shein) 및 테무(Temu)와 같은 업계 대기업의 성장률은 7%을 넘어섰지만 시장의 소규모 플레이어는 마이너스 성장을 경험했을 수 있다.

전자 상거래는 지난 3년 동안 전체 소매 업체와의 비율적인 면에서 비교적 비슷한 상태를 유지했지만 절대적인 측면에서는 계속 확장되고 있다. 마켓플레이스 펄스에 따르면 지난 10년 동안 14-15%의 성장률은 표준이었고 팬데믹 기간 동안 가속화 되고 이후 감속되었다. 올해 관찰된 7% 성장률은 향후 몇 년 동안 9-10% 성장으로 가속화될 것이라는 예상과 함께 잠재적으로는 지금이 최 하점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는 전자 상거래의 지속적인 상승을 강조한다. 소매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그대로 일 수 있지만 전자 상거래 부문을 통해 유입되는 절대 가치는 매년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다.

 

출처 : fashionunited.uk

2024년 물류 과제와 전자상거래 전망

Market

Delivery. Credits: Wynand van Poortvliet, Unsplash

 

끊임없이 진화하는 전자 상거래 혁명은 소비자들에게 전례 없는 편리함을 제공하면서 패션 리터일 산업을 재편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역동적인 환경을 헤쳐나가는 기업들에게는 이러한 변화가 동반한 수많은 문제들에 대처할 효과적인 물류 관리가 사업 성공을 위한 더욱 더 중요한 분야가 되었다.

2023년 물류는 지정학적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인플레이션과 함께 증가하는 운송 비용은 회사들이 새로운 방식을 채택하도록 이끌었고, 이러한 상황아래 가장 진보적인 패션 회사들의 예리한 마케팅 통찰력과 최적화 마인드가 그 길을 안내한다. 그 중에는 물류 및 비용 최적화를 통한 효율성 추구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성과 책임 있는 사업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회를 인식하는 사람들이 있다.

제품의 반품 및 충성도 향상 노력

온라인 쇼핑 경험의 영역 내에서, 소비자들은 배송 옵션의 유연성과 속도, 무료 배송, 그리고 간단한 반품 절차를 적극적으로 추구한다. 특히 상품의 신속하고 성공적인 배송은 고객의 충성도를 유지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프랑스의 전자 상거래 로봇 공학의 선도적인 전문가 Cubyn에 따르면, 실제 소비자의 96%가 배송 경험의 퀄리티를 미래 구매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생각한다. 또한 소비자들은 모바일 쇼핑 또는 음성 쇼핑과 같이 그들의 쇼핑 경험을 높이는 혁신에 눈높이가 맞춰져 있다.

그러나 결국 이러한 방법이 충동구매를 유도하여 판매률 증가에 기여한다. 2022년에 스타티스타는 프랑스 소비자의 20%가 온라인으로 주문한 의류 제품을 반품했다고 보고했다. 이는 재고 관리의 복잡성과 함께 주요 전자 상거래 업체에게 중요한 물류 문제를 야기한다. 특히 무료 반품이 일반적인 패션 부문에 광범위하게 퍼져있다. 2022년부터 Zara, H&M, Boohoo 및 Next와 같은 기성복 소매업체에서는 온라인에서 구매한 제품의 반품 수수료를 시행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과도한 "무료 반품" 시대에서 벗어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Zara’는 이제 온라인으로 주문한 제품의 반품과 환불에서 1.95유로를 공제한다. 900억 달러 규모의 중국 거대 기업 ‘Shein’조차도 첫 번째 구매에 대해서는 여전히 무료 반품을 제공하지만 이후의 구매에 대해서는 반품 수수료를 도입했다.

또한 이러한 마케팅에 능통한 회사들은 수익을 높이는 재정적이고 물류적인 문제를 고객 충성도를 높이는 독점적인 기회로 바꾸어 놓았다. 그들은 그들의 VIP 고객들에게 아마존 프라임 모델과 유사힌 멤버십 스타일의 수익 옵션을 제공하였고, 더 개인화된 경험으로 충성도 높은 고액구매 쇼핑객들에게 추가 보상을 하고 있다. 멤버십 프로그램은 소비자 충성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그들의 평균 지출도 금액 역시 증가시키는 것으로 실제로 입증되었다. 맥킨지의 2020년 연구에 따르면 무료 로열티 프로그램에 가입한 쇼핑객들이 비회원들보다 30% 더 많이 지출했으며, 이 수치는 이러한 멤버십에 돈을 지불한 사람들의 경우 60%로 증가했다고 한다.

그러나 2023년에 기업들이 수익률에 대한 접근 방식을 재고하도록 만든 것은 재고, 물류 또는 금융 비용뿐만 아니라 운송 비용 증가로 인해 전자 상거래 플랫폼에 추가적인 문제가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Illustrative image of a logistic facility Credits: Inditex Media Gallery


운송 비용의 급증

전자 상거래 고객에게 빠르고 정확한 배송은 더 이상 경쟁 우위가 아니라 근본적인 요구 사항이다. 특히 성수기와 프로모션 기간에는 적시에 배송을 보장하고 정확한 주문을 이행해야 하는 어려움이 더욱 커졌다. 이러한 어려움은 주로 에너지 및 임금 비용 상승으로 인해 2022년 이후 운송 비용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더욱 가중됬다. 이러한 상승세는 2023년 말까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패션 회사들은 이제 물류 및 공급망 관리를 최적화하거나 물류를 아웃소싱하는 두 가지 중요한 전략적 선택에 직면해 있다.

물류 최적화 기회를 위한 AI 활용

패션 회사들은 AI의 예측 분석을 통해 고객의 수요를 예측하고 재고를 최적화하며 경로를 효율적으로 계획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소프트웨어 회사 오라클은 AI의 통합으로 패션 산업의 중요한 변화를 구상하고 있다. 비용 효율화에는 지능적으로 운송업체를 선택하는 것이 포함되지만 AI의 머신 러닝 데이터를 사용하여 공급업체의 과거 성능을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으며 미래의 신뢰성을 예측할 수 있다. 전자 상거래 업체와 전통적인 회사 모두에게 중요한 시간 관리가 빠르게 진행되는 현재 비즈니스 환경에서 AI는 공급업체가 소비자의 주문을 제때 배송하지 못할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날씨 예측과 같은 요소를 통합하여 산업 가치 사슬의 영향력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화 생산에 임박한 가뭄이나 폭우시 도로의 교통량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데이터는 교통 혼잡을 피해 두 지점 사이의 최단 거리를 찾아냄로써 물류에 대한 경로 최적화를 향상시킨다. 또한 AI 기술을 공급망에 통합하면 정보에 입각한 의사 결정을 운전자에게 제공하여 경로 최적화를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이는 가장 효율적인 주유 및 점심 휴식 장소를 찾는 데 도움이 되며, 이를 통해 하루 근무 시간과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이는 연료 비용을 최소화하고 운송 효율성과 지속 가능성을 향상시킨다.

효율성 추구를 위한 지속가능한 운송 파트너십 모색

사실, 2024년 패션 기업들에게 물류 효율성을 위해 노력하면서 지속 가능한 파트너십을 모색하는 것보다 더 나은 전략은 무엇일까? 현재 업계에서는 물류 서비스 공급자와 전자 상거래 업체 간의 공동 노력으로 공유 창고, 최적화된 운송 및 멀티 모달 배송 시스템 솔루션을 제공하는 등 협업 플랫폼 및 파트너십이 활발하다. 이러한 이니셔티브는 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운영을 간소화한다. 예를 들어 푸마, H&M 및 머스크(Maersk)는 공급망의 가시성, 영향 감소 운송 및 그린 코리더 구축을 위한 솔루션을 포함하여 보다 지속 가능한 공급망을 채택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

2023 글로벌 패션 서밋(Global Fashion Summit)의 넷제로(net-zero)에 대한 강연에서 머스크의 최고 배송 책임자(Chief Delivery Officer)인 헨리에테 홀버그 티게센(Henriette Hallberg Thygesen)은 그들의 배송 컨테이너가 평균 70%만 차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는 프랑스 배달 기사들이 항의하는 바와 같이 고객의 위치에 관계없이 24시간 내에 배송하겠다는 회사들의 약속이 급증한 결과이다. 이에 H&M은 같은 곳에 배송하는 동료들과 협력하여 선박을 덜 활용하도록 조치하고 있는 반면, 푸마는 판매 팀과의 협력 및 제품 수요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대시보드 분석을 통해 지난 1년 동안 컨테이너 충전율을 10% 증가시켰다. 또한 평균 신발 상자의 크기를 하나의 컨테이너에 더 많이 넣을 수 있도록 조정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더 적은 수의 컨테이너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H&M은 볼타 트럭(Volta Trucks) 및 전기 오토바이 제조업체 케이크(Cake)와의 협력 이니셔티브를 통해 네덜란드에서 온라인 주문 상품을 100% 전기차로 배송함으로써 획기적인 성과를 달성했다.

이러한 이니셔티브는 소비자의 기대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보다 환경을 의식하고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패션 산업의 시급한 과제를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과 같이 의류 부문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공급망 전반의 협력과 최고 수준의 리더십이 필요하다. 이는 생존과 성장을 위한 적응이 필요한 중요한 시점이다.

 

출처 : fashionunited.uk

2024년 6가지 소비 트렌드

Trend

 

최근 화려한 조명과 축제로 곳곳이 서서히 연말 분위기로 들어서며 또 다른 새해가 가까이 다가오고 있음을 느끼게 되는 시기이다. 그렇다면 2024년에 가장 큰 소비 트렌드는 무엇일까? 여기에 유력 마켓 리서치 기관 ‘유로모니터 인터내셔널’에 따른 6가지 소비 트렌드를 정리하였다.


1. AI 지원 챗봇 및 디지털 어시스턴트

인공지능(AI)이 2024년 소비자 트렌드 리스트에 있다는 것은 이미 놀라운 일이 아닐 것이다. 출시 이후, ChatGPT는 두 달 만에 1억 명의 사용자를 모았고 역사상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가 되었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ChatGPT는 접근하기 쉬운 특성을 가지고 있어 기술적인 지식이 거의 없는 소비자들도 빠르게 그것을 익힐 수 있다.

소비자들뿐만 아니라 회사들 역시 그 기술들을 사용하여 여러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 그들은 챗봇과 음성 AI를 구현하는 것을 테스트한다. 이것은 또한 'Ask AI trend'라고도 불리며 효과적으로 사용된다면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점할 수 있다. 그것은 시장 진출 전략 및 콘텐츠 제작 아이디어뿐만 아니라 사용자 데이터를 집계하여 신제품 개발을 촉진할 수 있다. 게다가 쇼핑객의 개별 질문에 대답하는 가상 비서 기술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이 보고서에 따르면 40% 이상의 소비자들이 음성 비서를 통해 개인 맞춤형 추천을 받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복잡한 고객 서비스 질문에 챗봇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의견이다. 예를 들어, 서스테이너블 트레이너 브랜드 웨어는 이미 디지털 비서를 테스트하고 있다. '트레이너 클리닝 챗봇'은 트레이너를 유지하고 클리닝하기 위한 사진을 기반으로 개인 맞춤형 어드바이스를 제공한다.

Wear launches a trainer cleaning chatbot. Credits: Wear

2. 행복을 찾아서

최근 몇 년간의 코로나 위기는 이제 경제적 불확실성, 정치적 불안, 기후 재해 및 전쟁으로 빠르게 전환되었다. 소비자들은 충분히 지쳤고 이제는 자신의 행복을 추구하고 싶어한다. 그리고 그 행복은 주변의 소소한 것들에 있다.

유로 모니터에 따르면 소소한 (예상치 못한) 놀라움이나 작은 행동들이 이러한 소비자의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소비자들은 자신들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는 제품을 찾고있으며 도파민 드레싱 패션 트렌드가 바로 이러한 예이다.

브랜드들은 트렌드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소비자들과의 디테일한 의사소통에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주문 확인 이메일에 따듯함을 불어 넣는 것이다. 특히 감성 마케팅이 이 트렌드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브랜드들은 낙관주의에 대한 문화적인 열망과 그들의 상품을 연결하는데 힘을 쏟아야 합니다."라고 유로모니터는 언급했다. 이것은 소비자들이 여러분의 브랜드를 긍정적인 느낌으로 연상하게 만들 것이다. 인터렉티브 브랜드 경험도 큰 역할을 할것이며 반드시 기술과 브랜드, 스토리텔링과 엔터테인먼트를 결합해야 한다. "이것은 여러분의 소비자들을 사로잡고 즐겁게 할 것입니다."

3. 그린워싱 완료

기후 위기가 점점 더 크게 다가오는 세상에서 많은 소비자들이 환경보호에 기여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그것은 생각만큼 쉽지 않으며 소비자들은 종종 어려운 지속 가능성의 선택의 미로에 빠져 있다. 확실한 것은 소비자들이 ‘그린워싱’을 한다는 것이다.

환경 보호의 피로를 경험하는 소비자들은 더 이상 브랜드와 회사의 공허한 약속이나 가짜 이야기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현재로서는 환경 문제가 최우선 의제로 남아 있고, 지속 가능성에 대한 선택이 계속해서 이루어질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완전한 투명성은 이 소비자 행동에서 필수적인 일이다. 책임 있는 사업 방향의 구체적인 증거를 공유하고 그에 따른 진행 상황을 확인해야 한다. 유로 모니터는 "특정 데이터로 지속 가능한 영향력을 입증하세요. 예를 들어, 만약 여러분의 제품이 재활용 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졌다면 생산하는 동안 얼마나 많은 쓰레기를 줄였는지 표시하세요.” 라고 말한다. 이 방식으로 소비자들은 그들의 구매 결정이 어떠한 차이를 만드는지 즉시 알 수 있다. 투명성 이외에도 적당한 가격도 중요하다. 우리는 종종 지속 가능한 제품들이 너무 비싸다고 느낀다. 따라서 그것들의 가격을 좀 더 매력적으로 만들어야 할 것 이다.

Credits: AI generated images created by FashionUnited.

4. 정치적 표현? 대신 브랜드 정체성에 집중하세요

소비자들은 그들의 가치에 부합하는 브랜드를 더 좋아한다. 결국 제품의 구매는 그들이 관심을 갖거나 보고 싶어하는 이유를 반영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적 책임, 정치적 헌신 또는 지속 가능성 계획은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구매에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국가들이 그들의 정치적 불안으로 항상 그렇지는 않다.

정치적 관심사에 대해 목소리를 내는 브랜드들은 때때로 매출의 반을 잃기도 한다. 예를 들어, 소비자들은 때때로 당파적인 의제를 홍보하는 브랜드를 피한다. 게다가 논란이 많은 이슈에 마케팅 캠페인을 추진하는 회사들은 대중들의 비난이나 외면을 받는 경우가 종종있다. 이것은 브랜드 평판을 크게 손상시킬 수 있다.

그렇다면 브랜드들은 이 문제에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 우선 여러분의 브랜드 정체성에 집중하고 포커스 그룹에 접근하여 그들의 중요 관점을 찾음으로써 타겟들의 마음을 깊이 들여다보아야 한다. 포커스 그룹 외에도 소셜 커뮤니케이션 도구는 여러분의 소비자 관점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기도 한다. 사회적 이슈나 정치적 관점을 미묘하게 표현하는 동시에 브랜드 진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소비자 트렌드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야기한다. 따라서 유로모니터는 모든 사람을 만족시킬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싶은 브랜드는 논란이 되는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잠재적인 위험과 보상 모두를 받아들여야 합니다."

5. 가치 해커

우리가 피할 수 없는 또 다른 주제는 인플레이션이다. 비용 상승은 소비자들의 지출을 재조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들은 더 저렴한 옵션을 선택하며, 인플레이션이 완화되더라도 소비자들의 저축은 계속 이어질 것이다. 실제로 그들은 더 많은 돈을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으며 여기에 '가치 해커'가 연관되고 있다.

예를 들어, 회사나 브랜드가 진행하는 묶음 및 할인 행사를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비자들은 여러 제품을 할인된 가격에 구입할 수 있다. 유로 모니터에 따르면 구독 및 저축 계획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된다. 로열티 프로그램을 통해 제품의 가격을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입맛도 맞출 수 있다.

소비자들이 브랜드의 가치 제안을 이해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여러분은 짐작대로 소비자와의 의사소통이 이것의 핵심이다. "그들의 구매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올바른 정보를 홍보하세요. 만약 구매자들이 여러분의 가치를 이해하지 못한다면 그들은 다른 경쟁 브랜드나 대안을 찾게 될 것입니다"라고 유로모니터는 말했다. 돈을 절약하기 위한 팁과 요령을 공유하는 것 또한 소비자들에 의해 높이 평가된다.

Credits: Pexels

6. 정신적, 영적 건강

소비자들은 자신들이 멋져 보이고 기분이 좋아지기를 원한다. 이것은 오랫동안 변치 않는 사실이었지만 그 방법에 대한 추세가 바뀌고 있다.

이전에는 소비자들이 자신의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에 시간과 노력을 거의 들이지 않는 쉽고 효과적인 해결책을 선호했을 뿐만 아니라 큰 기대도 없었다. 하지만 이제 그들은 빠른 해결책과 작별하고 현실적인 접근을 취하고 있으며 급진적인 변화 대신 눈에 보이는 개선을 원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말했다.

쇼핑 행동에서 이것은 사용자 친화적이거나 더 실행 가능한 솔루션을 택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여기서 입증된 효과가 핵심 구성 요소이다. 예를 들어 제품이 전후 사진을 통해 어떻게 작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보여지는 데이터도 필수적인데 실제 모니터링 및 스마트 도구는 진행 상황을 추적하는 데 도움이 된다.

 

출처 : fashionunited.uk

다시 등장한 고프코어…시티 보이 룩 밀어낼까

Market

 

2017년 첫 등장한 고프코어의 새물결
하나의 장르로 포지셔닝 조짐


다시 고프코어(Gorpcore)의 등장이다. 최근 재유행 조짐이 보이는 패션 트렌드로 고프코어가 꼽힌다. 2017년 처음 등장했을 당시보다 더 강력해진 흐름이다. 오히려 최근들어 고프코어 트렌드가 하나의 장르와 스타일로 자리매김하는 분위기다. 기능성 아웃도어룩을 젊은 세대들이 재해석해 ‘힙’하게 소화하는 고프코어룩이 지난해까지 서울에서 줄기차게 노출됐던 1980년대 일본에서 유행한 ‘시티 보이 룩’을 밀어낼 수 있을까. 가능할 것 같다. 고프코어 트렌드는 한국, 즉 로컬 트렌드 조짐이 아닌 전 세계적인 유행 현상이다. 고프코어는 고프(gorp)와 놈코어(normcore) 단어를 합쳐 만든 합성어다.

고프코어가 패션 시장에서 인플루언서들을 서브 컬쳐로 확산됐고 여기에 럭셔리와 스트리트 무드까지 가해지며 복잡하지만 미묘한 세계관으로 진화하고 있다.


사실 고프코어는 2010년대 중반 가장 스타일리시한 래퍼이자 세계적인 패션 아이콘 에이셉 라키(A$AP Rocky)와 프랭크 오션(Frank Ocean) 같은 그 당시 인플루언서들이 아디다스 트레킹화 테렉스(Terrex AX3 GTX)와 아크테릭스 재킷을 입고 등장하면서 주류가 되었다. 

이들이 입고, 신고 등장한 모든 제품이 시장에서 폭발적인 팔림새를 보이자 노스페이스와 슈프림, 컬럼비아스포츠웨어와 오프닝 세레모니, 피엘라벤과 아크네 스튜디오의 콜라보레이션 프로젝트 등이 시작된 것이다.

 

고프코어가 패션 시장에서 인플루언서들을 서브 컬쳐로 확산됐고 여기에 럭셔리와 스트리트 무드까지 가해지며 복잡하지만 미묘한 세계관으로 진화한 것이다. 디올과 버켄스탁, 자크무스의 트레킹화, 프라다의 나일론 백팩까지. 고프코어의 트렌드를 반영한 것들이다. 고프코어가 새로운 럭셔리 스트리트웨어가 된 셈이다.

프라다 나이론 백팩

실제 구글과 인스타그램, 그리고 각종 숏츠 기반 플랫폼에서 고프코어(Gorpcore)에 대한 검색 데이터가 10~20대층을 중심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아크테릭스, 노스페이스, 살로몬의 급부상하고 기능성 베스트(조끼), 레인 재킷 테크 웨어와 백팩에 대한 검색량이 증가했다. 2023년 대한민국 로컬 트렌드에서 고프코어의 영향력이 예상된다.

 

출처 : 아워 퍼스트 바이브 / www.ourfirstvibe.co.kr

편집숍이 ‘더욱 젊어졌다’.. “유명세, 가격 아닌 ‘감성’ 팝니다”

Issue

‘한층 젊어진 편집숍’으로 MZ세대 고객 취향 저격
신진 브랜드 선보이는 O4O 편집숍 ‘하고하우스’ 인기

‘문화 체험’ 결합한 편집숍 등도 눈길


 

명품이나 해외 고가 브랜드 중심으로 운영되던 패션 편집숍 분야에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다. MZ세대가 주소비층으로 급부상함에 따라, 이들을 공략하는 디자이너 브랜드나 자사 브랜드 등을 이들 입맛에 맞게 전략적으로 소개하는 편집숍들이 대거 등장하는 추세다.

MZ세대는 자신만의 개성을 드러내고 본인의 가치에 따라 소비하는 만큼, 패션에 있어서도 다양함과 차별성을 추구하는 신진 디자이너 브랜드들에 주목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 브랜드는 실시간 트렌드와 다양한 고객 니즈를 빠르게 캐치하는 감각, 합리적인 가격, 브랜드의 철학이 돋보이는 정체성 등으로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특히 MZ 취향을 저격하는 일부 브랜드들은 강력한 ‘팬덤’까지 형성될 정도다.

이에 패션업계 역시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온라인 위주로 전개되는 이들 신진 브랜드를 오프라인에서 직접 고르고 입어볼 수 있는가 하면, 기존의 자사 제품을 MZ세대의 가치관에 맞춰 보다 새롭게 소개할 수 있는 다양한 편집숍을 선보이고 있는 것. 기존 편집숍의 인기가 여전한 가운데, 한층 젊어진 감각으로 MZ세대 고객들을 공략하는 이들 ‘편집숍 2.0’에 패션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하고하우스(HAGO HAUS)’

하고하우스, 핫 한 브랜드 선보이며 MZ세대 공략 

브랜드 인큐베이터 하고엘앤에프는 오프라인 브랜드 편집숍 ▲하고하우스(HAGO HAUS)를 중심으로 신진 디자이너 브랜드를 적극 선보이고 있는 대표적 사례다. 하고엘앤에프는 2021년 8월 롯데백화점 동탄점에 ‘#16’을 오픈, ‘재고 없는 O4O(Online for Offline) 매장’ 컨셉 및 오프라인에서 만나기 힘들었던 다양한 브랜드 라인업으로 폭발적 반응을 얻으며 오픈 1개월만에 매출 5억원을 기록했다.

하고엘앤에프는 신진 브랜드로 구성된 편집숍에 대한 가능성을 파악, 올 하반기에는 본격적으로 매장 확대 및 리뉴얼에 나서고 있다.

먼저 명칭은 편안한 공간에서 개성 넘치는 신진 브랜드들을 만나볼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하고하우스(HAGO HAUS)’로 변경했다. 롯데백화점 인천점, 부산본점에 추가 매장도 연이어 오픈했다. 

특히 입점 브랜드가 돋보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터 브랜드별 배치 등 매장 인테리어를 보다 전략적으로 구성했으며, 각 지점별로 브랜드 라인업과 키 컬러를 다르게 적용해 차별성을 더했다. 이에 더해, 하고하우스는 백화점 내 입점한 별도 편집숍 중 압도적으로 큰 규모와 다양한 브랜드를 갖추고 있어 높은 고객 유입률과 브랜드에 대한 고객 반응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덕분에 신진 브랜드들에게 오프라인 유통망에 대한 ‘테스트 베드’로서의 역할도 톡톡히 해내고 있다. 그 결과 마뗑킴, 리플레인, 보카바카, l.e.e.y, WMM 등의 브랜드가 단독 매장까지 오픈 하며 오프라인 시장 내 성공적으로 진출했다.

하고하우스는 MZ세대가 선호하는 디자이너 브랜드를 다채롭게 선보인다는 점에서 고객들의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 하고엘앤에프가 투자 중인 국내 유수의 디자이너 브랜드의 베스트 제품 및 FW 신상 아이템들을 다양하게 선보였다. 또한 지점별 매장에서만 만나볼 수 있는 한정판 제품 역시 MZ세대 고객들의 소비 심리를 겨냥하는 요소로 손꼽히며 큰 인기를 얻고 있다.

 한섬 _EQL 스테이션_

한섬 EQL 스테이션, 현대百 피어 등 브랜드 큐레이션 활발

업계에서 잔뼈가 굵은 기존 패션, 유통 업계 역시 유명세나 가격대와 무관하게 MZ세대가 열광하는 브랜드를 콕 집어 큐레이션해 선보이는 신규 편집숍 운영에 잇달아 나서고 있다.

한섬은 지난 10월 더현대 서울에 온라인 편집숍 ‘EQL’의 첫 플래그십 매장 ▲EQL 스테이션을 선보였다. EQL은 한섬이 운영하는 온라인 패션 편집숍으로, 한섬만의 아이덴티티가 반영된 자체 브랜드 및 최근 SNS 등에서 반응이 좋은 브랜드, 신진 디자이너 브랜드 등 1500여개의 패션·라이프스타일 브랜드를 다양하게 선보이고 있다.

한섬은 다양한 브랜드 중에서도 미스치프, 뮤지엄 비지터, 마지셔우드 등 MZ세대가 선호하는 감도 높은 브랜드의 의류, 잡화, 라이프스타일 아이템들을 감각적으로 선별, ‘EQL 스테이션’을 통해 선보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EQL 스테이션은 지하철 플랫폼 테마의 공간 구성으로도 화제를 모았다. 개찰구부터 열차 등 지하철 플랫폼을 그대로 옮긴 듯한 내부 인테리어와 함께 독특한 제품 진열 방식 등으로 유니크한 분위기의 공간을 연출해냈다.

현대백화점이 지난 2019년 첫 선을 보인 플래그십 스토어 형태의 스트릿 패션 편집숍 ▲피어(PEER) 역시 MZ세대에게 높은 반응을 얻으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대표적인 편집숍 2.0 사례 중 하나다. 현대백화점은 피어를 통해 다양한 국내외 브랜드를 선보여 큰 인기를 얻었다. 특히 키르시, 라퍼지스토어, 로우로우 등 백화점 업계 최초로 다양한 스트리트 캐주얼 브랜드를 선보였으며 마르디 메크르디, 아르떼 등의 온라인 브랜드도 유치해 MZ세대 사이에서 더욱 입소문을 탔다. 피어는 지난 2019년 런칭 후 현재까지 더현대 서울, 무역센터점 등 총 8개 점포로 매장을 확대 중에 있다.

LCDC, ZIP739 등 패션·아트·라이프 결합해 새로운 경험 제공

신진 디자이너 브랜드에 더해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는 복합공간으로서의 편집숍을 지향하며 MZ세대들의 눈길을 사로잡는 사례들도 눈길을 끈다. 에스제이그룹의 라이프스타일편집숍 ▲LCDC는 자체 브랜드 르콩트(LECONTE)를 비롯한 고감도의 국내외 신진 디자이너 브랜드들을 다양하게 소개하고 있다. 특히 성수동에서 운영 중인 LCDC의 복합 문화공간은 다양한 브랜드의 팝업스토어를 운영하며 자연스럽게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운영, 지역 내 핫 플레이스로 등극하며 MZ세대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삼성물산 패션부문 역시 자사 브랜드와 함께 문화적 경험을 보다 감각적으로 선보이는 ‘영 앤드 리치(Young & Rich)’ 콘셉트의 편집숍 ▲ZIP739를 지난 10월 오픈했다. ZIP739의 가장 큰 특징은 기존의 구호 브랜드 한남 플래그십 스토어를 리뉴얼, 전시와 제품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구성한 공간이라는 점이다. 삼성물산 패션부문의 여성복 브랜드인 구호, 르베이지, 구호플러스, 코텔로 등을 비롯해 알렉스밀, 사이먼밀러, 존엘리엇 등 다양한 해외 브랜드를 만나볼 수 있는 것은 물론, 지상 2층에는 아트 콘텐츠를 소개하는 가나아트센터 라운지도 함께 운영하며 MZ세대의 발길을 이끌고 있다.

 

출처 : 어워 퍼스트 바이브 / www.ourfirstvibe.co.kr

메타버스와 NFT, 패션계에서 과연 돈이 될까?

Special

 

가상현실의 가치가 현실에 적용되기까지는 시간 필요

메타버스 안에서의 지적재산권 보호 정말 필요한가?​ 

나이키, 아디다스 등 대형 브랜드들이 최근 암호화폐에 하나둘 발을 들이고 있다. 그러나 곧 이들 기업은 가상공간에서의 패션 비즈니스가 실제 수익으로 이어지기가 쉽지 않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다.

NFT와 메타버스에 대한 이슈 확대와 과대 광고는 최근 더욱 거세지고 있다.

아디다스와 나이키는 메타버스를 통한 비즈니스 확대를 강력하게 밀어붙이고 있고 관련 패션 기업들 역시 이들보다 뒤처지지 않기 위해 너도나도 메타버스에 뛰어들고 있다.

NFT와 메타버스를 상업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다.

대형 패션 기업들은 마치 메타버스가 새로운 기회이며, 이를 통해 막대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을 것처럼 말하고 있지만, 업계는 지금의 현실에서 그렇게 빨리 효과를 거두기는 어려울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우리는 그동안 패션 생태계의 질서를 뒤엎는 새로운 기술과 앱들을 봐왔다. 클럽하우스가 혁신을 언제 이뤘는지 기억이 나는가?

 

도대체 NFT란 무엇인가?

NFT는 암호화폐의 한 종류이다. 쉽게 말하면 달러와 유로 같은 화폐들은 서로 구별할 수 있고, 교환이 가능하다.

마치 금의 가치는 어디에서나 동일하기 때문에 누가 얼마만큼 가졌는지 절대적인 가치를 비교할 수 있다.

반면 암호화폐는 독자적이며 다른 것과 교환되지 않는다. 모든 NFT는 모방할 수 없고, 변경할 수 없으며, 사실상 블록체인 안에서만 존재한다. NFT는 인터넷에서만 존재하는 인증 개념인 것이다.

NFT는 그 자체로는 가치가 없다. 팔려는 자와 사려는 자, 두 당사자가 거래하기로 결정하고 가치를 창출해 내야만이 비로소 가치가 결정된다.

누구나 보편적으로 인정하는 종이화폐와 달리 암호화폐와 NFT 가치는 훨씬 작고 변동성이 큰 부분집합일 뿐이다.

블록체인은 NFT를 거래할 수 있는 분산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제품의 원산지와 출처를 추적할 수 있어 진품 여부를 보장한다. 

현재 NFT 시장이나 암호화폐 전반에 대한 규제가 없다는 점도 명심해야 한다. 

비양심적인 NFT 전문가들은 무고한 고객들을 쉽게 속일 수도 있다. 암호화폐가 그립과 돈세탁에도 완벽한 도구인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차세대 투자 방법일까?

대유행으로 인해 일어난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는 부자들의 투자 방법이다.

블록체인을 통해 돈을 번 사람들은 이들 더 불리기 위해 여기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블록체인도 주식처럼 거품과 작전이 들어갈 수 있게 된다.

블록체인의 매력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고 모두가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이 같은 명제는 현실과 다를 수 있다. 

NFT가 본질적으로 사기성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수집 가능한 디지털 아이템을 거래할 때 전체 피라미드 구조 중 일부 측면만 공유하기 때문에 이 같은 거래 구조의 큰 그림을 보기는 어렵다.

나이키와 아디다스가 일찍 뛰어드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고객을 속이거나 속이기 위한 것이 아니라 나중에 발생할 수 있는 손실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브랜드들은 물리적인 세계에서 그들의 지적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수백만 달러를 써왔다. 디지털 상에서도 이어지고 있는 그들의 NFT 보호는 가상 세계에서 그들의 IP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메타버스 상에서 이뤄지는 브랜드 거래에서 지적 재산을 보호하지 못한다면 현실에서 상표 도용의 문제가 더욱 크게 일어날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이미 일부 NFT가 터무니없는 가격에 판매되고 있기는 하지만 그 아이템들은 현실 세계에서는 전혀 가치가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NFT 프론티어

한정판 스니커즈나 스트리트웨어와 같은 NFT 시장은 희소성에 기반을 두고 있다. 

희귀 항목일수록 가치가 높은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희귀하다’는 것은 ‘더 좋다’거나 ‘유용하다’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희귀하다’는 것뿐이다. 

결국, NFT는 본질적인 가치가 없고, 어떤 식으로든 사회에 이익을 주지 않는다. 

그것들은 가치가 있다고 믿는 다른 사람들에게 ‘권리를 휘두르는’ 것 외에 어떤 용도로도 사용될 수 없다. 

그리고 메타버스와 NFT를 존재하게 하는 기술의 근간은 현실 세계의 엄청난 에너지를 잡아먹고 있다. 

수집 가능한 NFT와 운동화 시장 사이에는 분명한 유사점이 있다. 둘 다 내재가치가 없고, 희소성으로 가격이 책정된다.

 

메타버스를 사랑하는 이유

브랜드들은 소비자와 관계를 맺고 싶어한다. 소통을 위해 공통 관심사를 찾아야 하고 끊임없이 소비자들과 대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슈가 필요하고 그들의 관심사를 찾아내야 한다.

만일 나이키 고객들이 NFT, 게임, 도박 등과 같은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면 브랜드는 자신들도 그 활동에 함께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어한다.

따라서 그들이 ‘우리도 메타버스를 시작했어요! 홀에 진입했습니다’라고 말하는 것은 고객들에게는 희소식이 될 수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해온 메타버스 상에서의 지적재산권 보호 활동이 정말 필요한 것인지 아닌지는 아직까지 미지수다. 

검증되지 않은 시장에 너무 성급하게 발을 담그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그들은 마치 “여기서 뭔가 일어나고 있다. 우리는 그것이 무엇인지, 어떤 의미인지는 아직 잘 모르지만, 그래도 참여하고 뒤처지지 말자”라고 어리석은 말을 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출처 : FASHION POST / www.fpost.co.kr

발뮤다 더 스토어 아오야마

Special

 

죽은 빵도 살리는 토스터기로 유명한 발뮤다(BALMUDA). 

발뮤다는 군더더기 없는 심플한 디자인으로 인해 한국과 일본에서 두터운 팬층을 보유하고 있는 가전 브랜드이다.

하지만 발뮤다의 핵심가치는 여타 가전제품들과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데 있다. 

토스터기를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맛있게 구워진 빵을 먹었을 때의 기쁨을 전달하는 것, 커피 머신을 파는 것이 아니라 여유로운 주말 아침에 커피를 내리는 행복한 경험을 전하는 것이 발뮤다의 철학이다. 

발뮤다는 우리에게 잘 알려진 토스터기 외에도 전기밥솥(BALMUDA The Gohan), 전기 주전자(BALMUDA The Pot), 청소기(BALMUDA The Clea ner), 최근에는 커피 메이커(BALMUDA The Brew), 스마트폰(BALMUDA Ph one)까지 꾸준히 새로운 제품을 선보이며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그럼에도 발뮤다는 제품들을 온전히 체험해 볼 수 있는 체험형 점포가 없다는 점이 의아했다. 발뮤다는 가전 양판점을 중심으로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백화점 내에 브랜드 숍을 운영하고는 있지만 애플이나 다이슨처럼 자사가 직접 운영하는 체험형 점포는 없었다. 

그런 발뮤다가 지난 11월 19일, 드디어 플래그십을 오픈했다.

제품을 통해 고객의 체험을 디자인하는 발뮤다가 만든 플래그십 점포는 어떤 모습일까? 제품 개발에 있어 예술성과 디자인을 중시하는 발뮤다의 디자인 철학이 점포에도 드러나 있을까?

<발뮤다의 전 제품을 전시해 놓은 1층​ 쇼룸>

발뮤다 더 스토어 아오야마

‘발뮤다 더 스토어 아오야마(BALMU DA The Store Aoyama)’는 2층으로 구성된 300㎡(약 90평) 면적의 공간으로 매장에 들어서면 길고 커다란 테이블 위에 늘어선 발뮤다 제품들에 자연스럽게 시선이 간다.

눈에 띄는 인테리어로 꾸며져서가 아니다. 오히려 발뮤다 제품을 전시한 테이블과 최근 출시한 스마트폰을 전시한 흰 색의 원형 테이블, 그리고 오븐 레인지 두 대 이외에는 특별한 가구나 장식이 없기 때문이다. 

“우리의 상품을 어떠한 공간에서 보여주면 좋을지 고민하다가 ‘클래식’과 ‘우아함’이 합쳐진 장소를 만들고 싶다고 생각했다. 클래식은 발뮤다의 상품 개발에 있어서도 항상 포함되는 키워드이다.”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미술관에서 작품을 보는 듯한 새로운 점포 체험을 제공 하겠다”고  한 발뮤다의 테라오 겐 CEO의 말처럼 발뮤다 제품들은 이 곳에서 마치 미술관의 작품처럼 전시되어 있다. 

한 가지 더, 공간 내에 어떠한 배경음악이 없다는 점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필자가 방문했을 때는 방문객이 많지 않아서 점포 내부가 매우 조용했고 더욱 미술관 같은 느낌을 받았다. 

발뮤다 제품 중 몇몇은 소리가 제품 경험의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 예를 들어, 얼마 전에 출시한 커피 메이커는 커피가 내려지는 동안 메트로놈이 내는 것과 비슷한 똑딱거리는 소리를 낸다. 

바쁜 아침에 마음을 편안하게 만들어 주며, 나를 위한 커피가 만들어지고 있다는 설렘을 표현한 것 같은 이러한 소리를 무음의 공간에서 온전히 즐길 수 있었다.

제품을 보고 만지는 것을 넘어 제품이 내는 소리까지 충분히 즐길 수 있도록 공간에 음향을 배제시킨 것은 아닌지 추측해본다. 

콘크리트를 기본으로 만든 점포 1층의 한쪽 벽은 이탈리아에서 들여온 빈지티 벽돌을 아치형으로 쌓아 올렸다. 

이 부분은 로마의 수로를 모방해 만든 교토의 난젠지 수로각(南禅寺 水路閣)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하지만 유심히 살펴보지 않으면 알아차리기 힘들다. 

<2층은 주방가전을 중심으로 체험을 제공하는 공간이다.>

토스터와 커피를 맛 볼 수 있는 체험형 공간

1층은 발뮤다의 전 제품을 전시해 놓은 쇼룸인 반면 2층은 주방가전을 중심으로 체험을 제공하는 공간이다. 안쪽에는 프라이빗한 공간이 있어 발뮤다 폰의 계약도 가능하다. 

약 5명 정도가 앉을 수 있는 키친 카운터에서는 발뮤다 토스터기로 구운 빵과 최근 출시한 커피 메이커로 내린 커피를 시음해 볼 수 있다. 

식빵과 크로와상 등 다양한 빵으로 토스터 성능을 소개하고, 발뮤다 밥솥으로 하루에 3번 밥을 지어 시식의 기회도 제공하고 있다.

2층은 다양한 이벤트 및 제품을 활용한 워크숍 장소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한다. 

필자도 발뮤다 더 브루(The Brew)가 내려주는 커피를 시음해 보았다. 직원이 커피 메이커의 특징과 어떠한 원리로 커피를 내리는지, 어떻게 맛을 구현하는지 등을 친절하고 자세하게 설명해주었다. 

커피가 내려지는 모습을 눈앞에서 보고 째깍거리는 소리를 들으며 커피를 기다리는 동안 온라인으로는 절대 느낄 수 없는 두근거림까지 경험할 수 있었다.

<프라이빗한 공간이 있어 발뮤다 폰의 계약도 가능하다. >​

출시하는 제품마다 소비자들을 실망시키지 않았던 발뮤다여서 일까. 최근 출시된 발뮤다 폰은 디자인에 호불호가 갈리고 있다. 필자도 사진으로만 봤을 때는 평범하다고 생각했으나, 실제로 손에 쥐어보니 그립감이 좋았다. 

탑재된 발뮤다 오리지널 앱(스케쥴러, 메모장, 계산기)에 관해서도 설명을 듣고 체험해보니 어떠한 부분에서 고객의 편의성을 높이려고 했는지 잘 이해할 수 있었다. 

테라오 겐 CEO는 패션 스냅(Fash ionsnap)과의 인터뷰에서 “가전 양판점이나 셀렉트 숍 등 판로를 확대해 왔지만, 우리가 직접 관리하는 공간을 오래전부터 갖고 싶었다. 

웹사이트에서 아무리 멋지게 보여도 ‘발뮤다 더 토스터’에서 구운 빵의 맛은 전해지지 않는다. 발뮤다가 출시한 폰의 편리함 역시 체험할 수 없다.

‘체험을 파는’ 발뮤다가 그 체험을 실제로 시험할 기회를 전달할 장소가 없다는 것에 딜레마를 느끼고 있었다. 이제 드디어 자리를 마련했다”고 전했다. 

플래그십을 오픈한 장소로 미나미 아오야마를 선택한 이유에 대해서는 “세련되고 차분한 분위기가 있는 미나미 아오야마는 원래 좋아하는 곳이다."

"이번 5월에 미나미 아오야마를 걷다가, 이 공간이 비어 있는 것을 발견했고 다음날 바로 관리 회사에 연락해 계약을 체결했다."

"플래그십 점포를 내고 싶어 몇 군데 출점 장소를 후보에 올리고 있었지만 마음에 드는 곳을 발견하지 못했다. 하지만 이 곳은 본 순간 감이 왔다. 인연이라고 생각한다.”  

최근 체험형 점포에는 예술 작품을 설치하거나, 자연을 느낄 수 있도록 하거나, 아니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등 고객의 경험을 풍부하게 만들기 위해 다양한 장치를 활용한다. 

하지만 발뮤다의 플래그십에는 예술 작품도,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패널도, 역사를 알려주는 사진 등 어떠한 것들도 없었다. 

발뮤다 제품이 주인공이 되고 소비자는 온전히 제품에 집중할 수 있는 공간은 마치 군더더기 없이 깔끔한 디자인의 발뮤다 제품을 보는 것과 같은 느낌이었다. 

 

출처 : FASHION POST / www.fpost.co.kr

포토그래퍼 김경록 “내 프로젝트는 현재 진행형”

Interview

“10년 간 뉴욕 거리 돌며 기록…나 자신에 감사”

“자기 브랜딩, 잘 하는 것에서 좋아하는 것으로”

“지루한 오리지널보다 흥겨운 하이브리드 사진 좋아” ​

 

“경록 씨는 지금 행복한 일을 하고 있나요?”

10년 전 해외 광고 촬영지에서 광고주가 던진 한마디 질문에 그는 말문이 막혔다.

스스로, 그리고 질문을 던졌던 광고주에게 딱히 둘러댈 적당한 답을 찾지 못했던 것일까. 정리된 답안지처럼 떠오르는 것이 없었다. 

그래서였을까. 그때 받은 질문 하나에 그의 시간과 인생의 방향이 바뀌었다. 

당시 광고기획 회사의 아트 디렉터로 일했던 그는 파리 출장길에서 돌아와 알 수 없는 끌림에 뉴욕행을 택했다. 

행복이라는 답을 스스로 찾지 못했을 때 떠오른 것은 오롯이 뉴욕과 감성 그리고 패션이었다고 한다. 

그런데 이번에는 광고 아트 디렉터가 아닌 스트리트 포토그래퍼의 길을 찾아 떠났다. 

그는 10년 동안 뉴욕 거리에서 스트리트 패션을 카메라에 담았다. 손에 쥔 카메라만 있다면 두려울 게 없었다던 그는, 사실 다소 내향적인 사람이었다. 

연고 없는 타지 생활과 치열한 스트리트 포토씬에 힘들었지만 주눅 들지 않고 자신만의 기세를 펼쳤다. 

그의 사진은 멈춰있는 피사체지만 당시의 뉴욕 거리의 온기와 활기를 그대로 재현했다. 디지털 사진에 아날로그 감성이 더해진 것도 그만의 특징이다. 

코로나 팬데믹이 시작되면서 다소 주춤해진 스트리트 포토그래퍼 활동에 충전의 시간이 될 수 있을까. 인터뷰 중 그가 가장 많이 한 말은 ‘우연히 벌어지는 기회와 재미’였다.

애매한 독창성보다 똑똑한 다양성, 지루한 오리지널보다 흥겨운 하이브리드에 열광하는 이 시장에서 그는 비록 스트리트 스타일이라도 광고 속 화보처럼 만들고 싶은 욕심이 있다고 했다. 

<스트리트 패션 사진 채집가에게 뉴욕의 모든 거리는 런웨이였고 뉴요커들은 모델이었다.>

▲ 스트리트 포토그래퍼의 시작이 궁금해요.

중학생 시절부터 누나의 패션잡지를 즐겨봤었어요. 광고와 화보 속에 나온 아름다운 모델 사진에 완전히 매료되었죠. 마음에 드는 사진을 잘라 스크랩하는 게 저의 소소한 취미였어요.

언젠가 나도 이런 멋진 사진을 만들고 싶다는 꿈을 가진 사춘기 소년이었죠. 하지만 그 시절엔 꼭 포토그래퍼가 돼야겠다는 꿈은 없었어요. 

그저 사진을 보고 스크랩하는 것만으로 좋았거든요. 

대학에서 시각디자인을 전공하고 졸업 후 운 좋게 패션 광고회사에서 그래픽디자이너를 거쳐 아트 디렉터로서 광고캠페인 제작에 참여하게 됐어요. 

어릴 적부터 동경하던 세상에서 일을 배우게 된 거죠. 정말 꿈만 같았어요. 광고 촬영 현장에서 만난 여러 포토그래퍼들이 현장에서 만들어 내는 사진을 보면서 그분들처럼 직접 사진을 찍고 싶었어요. 

진짜 원하던 일이 바로 그분들처럼 손에 카메라를 쥐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오래전 필름 카메라 시절부터 취미로 사진을 찍긴 했었지만, 그땐 정말 형편없었어요. 

본격적으로 사진을 찍기 시작한 시점은 아마 2012년 뉴욕으로 떠나고 나서부터 같아요. 부끄럽지만 솔직히 말씀드리면 뉴욕의 거리를 방황(?)하면서 시작했죠. 

첫해에는 진짜 관광객처럼 온 지역을 구석구석 돌아다녔어요. 출장 때 가보지 못했던 수많은 새로운 지역들을 골라서 찾아다녔어요.

특정한 주제나 목적 없이 그저 눈에 보이는 낯선 풍경들을 카메라에 담았어요. 

그러다 우연히 뉴욕 패션위크를 접하게 되면서 제가 갈망했던 사진이 스트리트 패션이란 걸 깨닫고 자연스럽게 본격적으로 포커스를 그쪽에 맞추게 되었죠. 

비록 스트리트 스타일이라도 광고 속 화보처럼 만들고 싶은 욕심이 생겼어요.

 

▲ 뉴욕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일까.

Unexpected expectations, 거리에는 늘 예상치 못한 일들이 새로운 기대감으로 다가와요. 어제와 똑같은 장소, 시간일지라도 그곳에는 늘 새로운 사람들과 멋진 스타일, 영감으로 가득 채워지기 때문이에요. 

사실 사진을 찍는 시간보다 대부분 거리의 모습, 사람을 관찰하는데 더 많은 시간을 보내요. 그러다 문득 즉흥적으로 마음을 사로잡는 순간의 모습을 사진에 담는 게 재미있기 때문이에요.

사실 패션광고 회사에서 일하기 전까지만 해도 뉴욕에 대한 꿈과 동경은 크게 없었죠. 

그저 영화 속에서만 존재하는 환상 같은 도시? 하지만 운(?) 좋게 패션광고 대행사에서 일을 시작하게 되면서 그곳이 궁금해졌어요.

특히나 뉴욕의 감성을 담은 광고 캠페인 시안을 광고주에게 제안하면서 스스로 아이러니하다고 느꼈죠. 

짧은 현지 출장과 미디어로만으론 뉴욕의 감성을 전혀 모른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더 늦기 전에 가서 ‘한번 살아봐야겠다’라고 결심했죠. 

몸으로 직접 느낀 감정들과 경험들을 훗날 좀 더 멋진 캠페인에 녹여낼 수 있길 바라는 마음과 함께 뉴욕으로 떠나게 되었어요.

▲ 10년 동안 뉴욕에서 스트리트 포토그래퍼로 지냈다고 들었는데, 단 한 번도 한국에 들어오지 않은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

사실 10년을 계획하고 뉴욕에 간 것은 아니었어요, 어느 정도 적당히(?) 2~3년 정도 살다 오면 괜찮을 것 같다고 생각했었죠. 

하지만 집에 돌아갈 생각도 못할 만큼 정말 정신없이 재미있는 일들이 많이 일어났어요. 

제 인스타그램은 스트리트 스타일의 사진들만 게시하고 있지만 사실 뉴욕에서 스트리트만이 아닌 다양한 행사 사진 작업을 해왔어요. 

2013년부터 21년까지 뉴욕의 자원봉사 단체인 New York Cares에서 자원봉사 Press 포토그래퍼로 활동하면서 뉴욕 커뮤니티 사회의 발전을 돕는 마음씨 좋은 뉴요커들의 다양한 모습들을 기록할 수 있었죠. 

대부분 사회적 취약계층과 지역 사회를 돕는 행사인데 수백여 명의 자원봉사자들이 모여 매년 봄과 가을마다 지역 공원과 공립학교를 유지보수하는 작업, 크리스마스엔 저소득층이나 소외계층이 주로 많이 사는 지역의 공립 초등학교나 노인센터를 방문해 선물을 나눠주고 추운 겨울이 오기 전 따뜻한 코트를 나눠주는 코트 드라이브(Coat Drive) 행사 등 뉴욕 사회의 다양한 온정을 사진으로 담을 수 있는 좋은 기회였죠. 

▲ 기억에 남는 일이 있나요?

이 단체에서 나오는 후원금으로 부모들이 미리 크리스마스 선물을 구매해서 학교에서 아이들에게 공개적으로 나눠주는 형식의 행사였던 것 같은데 한 어린 친구는 아무런 선물도 못 받은 거예요. 

주위의 친구들은 선물 받고 신나서 날뛰고 있는 상황에 그 어린 친구의 씁쓸한 표정을 차마 사진으로 담기엔 너무 마음이 아팠죠.

그밖에 다양한 국내외 광고 촬영 현장의 비하인드 씬 촬영을 비롯해 뉴욕 패션위크와 빅토리아 시크릿 캐스팅 현장은 무척 재미난 촬영 경험이었죠.

이를 매개로 나비효과처럼 잡지에서만 보던 유명 모델들과의 콜라보레이션 촬영을 하게 됐고 뉴욕에 계속 머무르게 만드는 요인이 되었죠.

뉴욕 패션위크의 지난 세 번의 시즌동안 마이클코어스 코리아의 하우스 포토그래퍼로서 게스트로 참석한 리사, 윤아, 조이, 이사배 님과의 촬영도 기억에 남네요.

<스트리트 뿐만 아니라 다양한 행사에 참여해 뉴욕 사회의 온정을 사진으로 담아내기도 했다.>

▲ 투엘브롤즈 출발은?

뉴욕에서 포토그래퍼로서 처음 일을 시작하기 전까지만 해도 ‘나’를 드러낼 만한 것이 별로 없었어요. 저만의 고유한 아이덴티티가 없으니 낯선 사람들과 사진 작업하기도 쉽지 않았고요.

그래서 저만의 브랜딩과 사람들이 기억하기 쉬운 네이밍이 필요했어요. (훗날 사람들은 쉽게 기억하는 브랜드가 됐지만 제가 R과 L이 2개 들어간 rolls 발음하기 어려워 무척 애먹었었다는 웃픈 사연이 있어요.) 

때마침 동시에 개인적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싶었는데 그것이 바로 필름 사진을 다시 시작하는 것이었죠.

처음 사진을 배웠을 때의 마음가짐 혹은 열정으로의 회귀(?) 이면서 다소 싫증 난 디지털 사진에 조금이나마 아날로그 감성을 담은 작업도 겸하고 싶은 욕심이었거든요. 

그렇게 한 달에 1롤씩만이라도 1년에 12롤의 필름을 찍는 것을 목표로 ‘12 Rolls’라는 프로젝트를 기획했어요. 

저만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만들었죠. 길에서 만난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 의미를 그냥 휴지 12롤 묶음으로 우습게 넘겨짚는 게 다반사였지만요. 하하. 

뉴욕은 필름 현상과 스캔료가 한국보다 너무나도 비쌌기에 자가 현상, 나아가 인화를 시작하면서 한 달에 12롤 이상 찍게 되었죠. 

필름을 중심으로 촬영 작업을 꿈꾸지만 제 인스타를 비롯하여 아직은 디지털 작업 비중이 더 높아요. 

결국 제 프로젝트는 아직 현재 진형형이에요. 이젠 마음에 꼭 드는 좋은 사진으로 1년에 12롤을 가득 채울 수 있길 바랍니다.

<거리에는 늘 예상치 못한 일들이 가득하다는 김경록 씨, 사진을 찍는 모든 순간이 자유롭고 행복했다고.>

▲ 당신은 어떤 피사체에 특히 매력을 느끼나요? 당신에게 셔터를 누르게 하는 사람들의 특징은?

재미있는 순간들, 사물들, 아이러니한 혹은 기억하고 싶은 순간들이 보통 셔터를 누르게 만들죠. 자연스러운 순간의 아름다운 모습은 늘 셔터를 누르게 만들어요. 

아무래도 패션광고업계 경력이 있다 보니 멋있고 아름다운 사람들의 스타일에 가장 큰 매력을 느껴요. 

어쩌면 저 자신을 스타일링 하는 것을 정말 못하기에 (멋을 부리는 게 너무 부담스러워요. 하하) 대리 만족으로 옷 잘 입는 사람들 보면 사진에 담고 싶어요. 

그리고 그들이 제 사진을 좋아해 주면 더욱 셔터를 누르게 만들죠. 아무래도 인상을 쓰는 얼굴보단 미소를 지어줄 때 아닐까요? 

예전에는 구분 없이 옷 잘 입는 사람들 사진을 찍었는데 어느 순간 작업물을 보니 다른 사람들과의 차별성이 별로 없더라고요.

사진을 잘 찍는 사람들이 너무나도 많기도 하고 패션위크 때 만나는 유명한 포토그래퍼들처럼 되기도 쉽지 않다는 걸 일찍 깨달은 거죠. 

이미 다른 사람들이 많이 하고 있기도 했고요. 그럴 바엔 혹시나 나중에 다시 광고계로 돌아갈 수도 있으니 모델들 사진만 신나게 찍기로 포커스를 압축하게 되었죠. 

비록 즉흥적인 스트리트 스타일의 촬영 작업일지라도 매 순간 잡지 화보 느낌처럼 담아보고 있어요. 

물론 길거리 촬영에서는 조명에 대한 제약이 가장 큰 아쉬움으로 따르지만 반대로 자연광을 조금 더 잘 다룰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많이 고민하게 되었죠.

덕분에 클라이언트는 없었지만 정말 재미있게 수많은 모델 친구들과 협업 작업을 다양하게 할 수 있었어요. 

좋은 포트폴리오를 쌓을 수 있게 된 것이죠. 결과적으로 나쁘지 않았던 것 같아요. 다양한 촬영 기회와 연결되기도 했으니까요.

 

▲ 스트리트 촬영이 아닌 개인 작업에 집중하고 싶은 마음은 없나요.

늘 바라고 있어요, ‘똑같은 건 재미없잖아?’와 ‘Edit Less, Shoot More’를 좌우명으로 언제나 다양한 스타일을 시도해 왔어요. 

어떤 사람들은 사진 속에서 작가만의 지속적인 색채, 일관성이 나타나야 한다고 하지만 아직은 다양한 작업을 해보고 싶어요.

자연광 채광이 좋은 소소한 저만의 스튜디오를 갖는 소망이랄까요? 

스트리트 촬영도 재밌긴 하지만 장기적으로 스튜디오 공간에서 좀 더 저만의 아이디어와 스토리텔링이 담긴 연출된 작업도 많이 하고 싶어요. 

저와 콜라보레이션 작업을 원하시는 분들께서 많이 연락해주셨으면 좋겠어요. 하하. 

브랜드나 이커머스를 비롯해 인플루언서, 아티스트 등과 같이 협업하며 새로운 무언가를 함께 만들어 가면 재밌을 것 같아요. 

그리고 암실 인화 작업에 좀 더 시간을 할애하고 싶은데 현실은 녹록지 않네요.

 

▲ 초상권과 표현의 자유 등 대립된 시각 속에서 스트리트 포토그래퍼가 시대를 기록하는 작품으로서 가치가 낮아졌다는 목소리도 있더라. 스트리트 포토그래퍼의 가치를 두고 좋은 시절은 지났다는 의견에 어떻게 생각하나요? 

<그의 사진은 멈춰있는 피사체지만 뉴욕 서리의 온기와 활기를 그대로 재현하고 있다.>

굉장히 논란의 요지가 될 수도 있는 민감한 주제이기에 조심스레 답하자면 개인적으로 절반만 동의하고 싶어요. 

아무래도 뉴욕이 공공장소에서 개인의 초상권보다 표현의 자유가 더 보장되기에 사진 작업하기엔 조금 더 편안한 환경이었던 점은 분명하지만, 저 역시 낯선 사람들에 대해선 특정한 이벤트를 제외하곤 사전에 동의를 구하고 촬영하는 게 심적으론 더 안정되더라고요. 

포토저널리즘의 측면에서 본다면 여전히 그 가치는 중요하고 작품으로서의 의미도 가질 수 있지만 제가 중점적으로 다뤘던 스트리트 패션의 경우엔 작품으로서의 가치보단 소셜미디어에서 손쉽게 소비되고 사라지는 팝업적 요소가 더 큰 것 같아요.

하지만 이 또한 시대의 트렌드를 쫓고 문화를 반영하는 미디어의 한 영역이기에 가치가 없다고 부정하긴 어렵죠. 

그 가치는 시대의 번영에 맞춰서 끊임없이 바뀌고 있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다분히 상대적인 개념인 듯해요. 

어떤 사람들에겐 제가 뉴욕에서 허송세월하며 시간을 보낸 것처럼 보일 수도 있겠죠. 다만 저 자신도 그렇게 생각하고 인정한다면 그들의 말처럼 정말 아무것도 아닌 게 되어버리겠죠.

저도 가끔은 타인의 말들이 신경 쓰이지만 스스로 자신을 의심하지 않으려 노력해요. 

아무렴 가치가 없으면 어때요, 그 시기의 나는 일련의 과정들을 기록하고 기억하면서 그 순간 자유롭고 행복했으니까요.

<손에 쥔 카메라만 있다면 두려울 게 없었던 그는, 뉴욕에서 진정한‘나’를 찾아 돌아왔다.>​

▲ 과거에 비해 스트리트 사진을 찾는 수요가 많이 줄었나요?

한국의 분위기는 어떤지 아직 잘 모르지만 개인적으로 볼 때 뉴욕의 경우는 계속해서 늘어나는 느낌이에요. 

어쩌면 반대로 사진을 찍는 사람들이 늘어나서 공급의 과잉으로 그 수요가 줄어드는 느낌일 수도 있겠네요. 

뉴욕 스트리트에서 인기 있는 포토그래퍼들은 끊임없이 행사, 파티에 에이전시, 모델들과 인플루언서들로부터 콜라보레이션 러브콜을 받곤 하죠. 

특히 패션위크 때는 수많은 인플루언서들이 각자 개인 포토그래퍼를 둘 정도로 그 수요는 계속 증가하는 느낌을 받았어요. 

아무래도 소셜미디어의 영향이 가장 크지 않을까 싶어요. 본인들이 바로바로 올리는 사진도 중요하지만 다른 사람의 미디어를 통해 노출되고 경력을 쌓는 것 또한 중요한 요소가 된 거죠. 

저 역시 현지 패션 홍보·마케팅 분야에서 영향력이 높은 사라 바이워스(Sara Byworth)와 협업하면서 마놀로 블라닉(Manohlo Blanik), 던컨(Duncan), 메쥬리(Mejuri), 엘레시(Hellessy) 등의 뉴욕 브랜드와 브루나 테노리오(Bruna Te norio), 엘리슨 본스테인(Allison Borns tein), 리안드라 메딘코헨(Leandra Co hen), 쥬네비브 엘젤슨(Genevieve A ngelson) 까지 많은 인플루언서들과 아티스트들을 만나 함께 작업할 수 있었어요. 

오히려 거리에서 모델과 인플루언서를 꿈꾸는 친구들이 제게 DM(Direct message)을 보내왔고 협업 촬영에 관한 문의가 정말 많았어요. 

 

▲ 스트리트 사진이 이 시대의 패션계에 어떤 영향력을 끼친다고 생각하나.

인스타그램, 틱톡 등 소셜미디어의 대유행에 힘입어 스트리트 패션 사진은 하나의 문화 트렌드가 되었다고 봐요.

패션피플들의 데일리 룩을 손쉽고 빠르게 접할 수 있기에 매력적이고 트렌디하죠. 반면 빠르게 소비되고 소멸되는 사진이라는 점에서 패스트 패션과 참 많이 닮아있는 듯해요. 

인스타그램을 통해 많이 받았던 질문들 중에 하나는 사진 속의 모델들이 입고 있는 옷이 어떤 브랜드의 제품인가 하는 궁금증이었어요. 

일일이 그 정보를 찾아서 알려주지 못해 아쉬움이 많이 남아요. 팔로워들과 정보를 교류하고 소통할 수 있는 장을 마련했어야 했는데 말이죠.

또 많이 받았던 질문은 왜 당신은 삐쩍 마르고 하얀 백인 모델들만 찍느냐는 질문이었어요. 

때론 인종차별주의자로 오해받기도 해서 반성하고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기도 했죠. 제 작업들로 인해 누군가는 불쾌함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도 깨닫게 되었죠.

 

▲ 뉴욕, 파리 등 패션 도시에서 스트리트 사진을 찍는 모습은 매우 흔한 풍경인데 과거와 비교했을 때 최근 가장 큰 변화가 있을까요?

<김경록 씨가 활동한 더트 배그(Dirt bags)그룹.​>

젊은 친구들의 관심은 예전보다 점점 더 많아지는 것 같아요. 아무래도 소셜미디어의 일상화로 손쉽게 접할 수 있기에 스트리트 패션의 인지도와 대중의 관심도는 차츰 증가하는 것 같아요.

과거와 비교했을 때 가장 큰 변화는 소호에서 활동하는 스트리트 포토그래퍼들의 모임(?)이 자연스럽게 생겨난 것이죠. 

사진을 찍는 사람들은 예전부터 많았지만 그룹으로 모여 있진 않았거든요. 4~5년 전까지만 해도 저랑 친구들 2명 정도가 매일 브로드웨이&프린스 스트리트에 모이는 정도였는데 다른 포토그래퍼들도 저희가 궁금했었나봐요.

어느 순간 한두 명씩 자연스럽게 다가와 사진에 관한 얘기를 나누면서 친구가 되었죠. 

사진동호회나 밋업(Meet up) 같은 모임이 전혀 아니에요. 그냥 사진을 좋아하는 친구들의 자연스러운 만남이었어요.

더트 배그(Dirt bags)라 부른 저희 그룹은 제가 뉴욕을 떠날 당시엔 거의 20명 가까이 늘어난 것 같아요. 

물론 한 번에 그 인원이 전부 모인 적은 없었지만 많게는 보통 7~8명 정도가 소호의 한 거리에 몰려있으니 지나가는 사람들이 늘 이상하게 생각하곤 했죠.

커다란 카메라를 가진 사람들이 모여 있으니 파파라치로 줄곧 오해받아서 ‘누구 기다리냐?’는 질문을 하루에도 10번 넘게 받곤 했어요. 하하. 

재밌는 건 이렇게 모여 있으니 때론 옷 잘 입는 혹은 잘 차려입은 친구들이 일부러 사진에 찍히기 위해서 나타나기도 하고, 또 그렇게 찍은 사진들이 인스타그램을 통해서 공유되고 하면서 많은 사람들로부터 또 다른 콜라보레이션 제의도 받기도 했죠. 

다양한 프로젝트의 기회를 얻을 수 있었어요.

▲ 한국에서도 계속 스트리트 포토그래퍼로 활동을 이어갈 계획이 있나요?

한국에 돌아올 결심을 한 이유 중 하나는 ‘뉴욕에서 하고 싶은 일을 만족할 만큼 했다’였어요. 

그곳에서 계속 머무르며 더 많은 활동을 할 수도 있었겠지만 문득 한국을 비롯한 다른 나라의 여러 도시에서의 다양한 스타일을 사진에 담고 싶은 욕심이 생기더라고요. 

뉴욕 패션위크 때도 늘 느끼던 점이었지만 한국에서 오신 분들 보면서 ‘정말 한국 사람들은 옷을 참 스타일리시하게 잘 입는구나’를 느꼈어요.

이제 그런 모습들을 한국 거리에서 사진에 담아보면 재밌을 것 같아요. 

물론 당분간은 뉴욕에서 활동했던 것처럼 매일 일상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긴 힘들겠지만 제가 지금까지 오랫동안 해왔던 일의 끈을 손쉽게 놓고 싶진 않아요.

스트리트 못지않게 브랜드와 인플루언서들과의 콜라보레이션 작업 또한 기대가 돼요. 

이곳에서 어떤 기회와 새로운 재미들이 일어날지 모르니까요. 

코로나를 핑계 삼아 당장은 휴식 시간을 보내게 될 것 같아요. 그동안 미뤄왔던 암실 인화 작업을 비롯해서 지난날의 사진들을 정리하고 압축하는 작업이 필요한 시기이기도 하고요.

하루 빨리 코로나를 이겨내고 마스크를 벗게 되는 그날이 오기를 기원하며 그 시기엔 또 어떤 스타일의 사진으로 소통할 수 있게 될지 기대됩니다. ​ 

@twelverolls

 

출처 : FASHION POST / www.fpost.co.kr

네이밍은 크리에이티브가 아닙니다

Special

1128e02e55c1d4aa76446ecb1941a6eb_1624772060_4467.jpg
 

네이밍, 브랜드의 가치와 집중하고자 하는것 담아 내야​ 

브랜드를 만들 때 가장 먼저 무엇을 생각하는가? 아마도 네이밍, 즉 이름을 짓는 일일 것이다. 브랜드 이름은 곧 브랜드의 이미지를 대변하는 동시에 거의, 브랜드가 살아있는 한 변경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처음부터 잘 만들어야 한다. 그렇기에 많은 사람들이 ‘네이밍’에 더욱 심혈을 기울인다.

하지만 간혹 네이밍을 할 때 전략으로 다가가기보다는 ‘크리에이티브’ 관점으로 논하는 모습을 종종 보게 된다. 

물론 한번 들을 때 뇌리에 꽂히는 것처럼 튀는 이름이 좋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잘 생각해보자. 지금 튀는 이름이 10년 뒤에도 색다르게 느껴질까? 급속도로 변하는 트렌드 속에서 튀는 이름은 1년 뒤 그저 평범한 이름으로 전락할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네이밍은 어떻게 해야 할까?

브랜드의 컨셉을 먼저 생각하자

앞서서 ‘브랜드 컨셉은 크리에이티브가 아닙니다’라는 글을 통해 브랜드의 컨셉이 어떤 관점으로 바라보고 만들어야 하는지 이야기한 적 있다. 브랜드 컨셉이 브랜드의 생각과 이미지를 함축한 것이라면, 이것을 한 번 더 함축하여 표현하는 것이 바로 ‘브랜드 이름’이 된다.

제목에서는 ‘크리에이티브’가 아니라고 했지만, 이름을 표현할 때는 상상력이 필요하다.

이때 우리 브랜드의 ‘성격’이 어떠한지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한다. 잘 노는 아이인지, 똑똑한 아이인지, 아니면 우아한 아이인지. 풍기고 싶은 분위기(Look&Feel)에 맞춰 이름을 정해야 한다. 

 

브랜드의 미래, 중장기 전략을 생각하자 

한 아이가 태어났다. 이제 이름을 지어야 한다. 수명, 재물, 인복 등 미래의 운수를 따져가며 굉장히 신중하게 생각한다. 그리고 부르기에도 좋은 이름, 아 요즘 같은 글로벌 시대에는 영문 표기와 발음까지도 고려하여 고른다. 그렇게 한 아이의 운명을 결정짓는 이름이 탄생한다.

여기서 아이 대신 ‘브랜드’를 넣어보자. 어떠한가? 그리 어색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렇다. 브랜드도 하나의 생명과도 같다. 이제 막 태어난 이 아이가 더 길게, 잘 나아갈 수 있는 이름을 짓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렇기에 단순히 크리에이티브 관점으로만 봐서는 안 된다. 이 브랜드가 기업 전체에서 어떤 역할을 하며, 어떤 비즈니스를 견인할지, 향후 어디까지 확장할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

비즈니스 업을 넣은 이름은 이름이 다소 추상적이더라도 우리가 어떤 사업을 하는지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된다. 사업 초기에 ‘스타벅스’라고만 한다면 사람들은 의문을 가질 것이다.

‘무엇을 파는 곳이지?’라고 되물을 것이며, 브랜드를 설명하기 위한 홍보가 더 필요해진다. 하지만 ‘스타벅스 커피’라고 하면 사람들은 브랜드 이름을 처음부터 외우진 못하더라도 ‘커피’ 파는 곳이라고 인지를 할 것이다. 

두 단계에 걸쳐 설명할 것을 한 번에 알릴 수 있게 된 셈이다.

하지만 이 브랜드는 점점 성장하고 확장하며 커피만 팔지 않게 됐다. 이제는 차(tea)도 팔고, 심지어 맥주도 판다. ‘커피’라고 쓴 이름이 브랜드 성장에 있어 걸림돌이 된다. 

그래서 과감하게 ‘커피’도 빼고 ‘스타벅스’만 남겨 두었다. 사람들은 ‘스타벅스’라고 하면 ‘커피’라고 인지를 하기 때문에 굳이 더 ‘커피’를 붙일 필요는 없다. 

하지만 전 세계에 진출해 있는 매장과 패키지와 소품에 ‘스타벅스 커피’ 대신 ‘스타벅스’만 남겨두어야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자금과 시간 비용을 지불하게 됐다.

이처럼 우리가 명확하게 한 가지만을 하는 곳이라면 업을 보여주는 이름이 괜찮을 것이다. 삼성전자처럼 말이다. 하지만 패션도 하고, 뷰티도 하고, 생활소품도 파는 곳이라면? 어느 한 가지 카테고리로 이름을 붙이기 어려울 것이다.

앞으로 우리 브랜드가 나아갈 방향, 당장은 아니더라도 어디까지 제품을 확장하고 업을 넓혀나갈 것인지에 따라서 브랜드 이름을 결정지어야 한다.

1128e02e55c1d4aa76446ecb1941a6eb_1624772101_0924.jpg

브랜드 이름은 투표로 결정할 것은 아니다

브랜드 이름의 후보안이 나왔다. 대개는 3개 시안을 두고 고르게 되는데, 이때 가장 흔히들 쓰는 방법이 ‘투표’이다. 전사적으로 투표를 하기도 하고, 블라인드 테스트로 설문조사를 하기도 한다. 

물론 실제 사용성을 가늠해본다는 점에서는 우리 브랜드를 가장 많이 부를 임직원과 고객 대상으로 호감도 조사를 하는 것이 유의미할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가 접하는 것은 오직 ‘이름’ 뿐인가? 우리는 ‘브랜드 이름’이라고 하지만, 실제로 브랜드 이름은 디자인이 된 상태로, 상품에 부착한 후에 접하게 된다. 소비자가 실제로 ‘이름’만 접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이런 사용 환경성은 제외하고 이름만 보여주고 선택하라고 했을 때와 디자인이나 제품과 함께 접했을 때, 호감도 차이는 분명히 발생하게 된다. 

무엇보다도 가능성 있는 이름을 미리 보여주는 것은 곧 ‘유출’의 문제로 직결되기도 한다. 실제로 설문조사를 통해 본 이름을 다른 곳에서 상표 등록하는 바람에 돈 주고 사야 하는 사건도 종종 발생하곤 했다. 

설문조사를 하되 가상의 제품에 얹혀 보거나, 혹은 디자인이 된 상태에서 함께 보여주는 방식이 좋다. 대상자는 유관 부서로 한정 짓는다. 이름의 좋고 싫음은 ‘취향’의 문제이기에 단순히 투표로 ‘좋은 이름’이라고 결정지을 수 없다.

심지어 처음에는 어색한 이름일지라도 계속해서 부르며, 이야기가 쌓여갈 때 브랜드가 더욱 매력적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상표등록’

자, 어렵게 이름을 만들었다. 이제 로고도 만들었고 자사몰도 만들고 론칭을 앞두고 있다. 그런데 이게 웬걸? 상표 등록이 불가능하다고 한다. 그냥 이대로 오픈을 해야 할까, 아니면 이름을 바꾸어야 할까? 우스갯소리로 가장 좋은 이름은 ‘상표등록이 가능한 이름’이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나 역시 이 의견에 매우 동의한다. 아마 브랜드 이름을 한 번쯤 등록해 보려고 키프리스에서 검색해 본 사람이라면 매우 공감할 것이다. 

이 세상에는 우리가 들어본 이름보다도 훨씬 더 많은 이름이 상표로 등록되어 있고, 현재도 등록 결과를 기다리고 있는 상표등록 대기 이름들이 있다. 거의 웬만한 이름들은 다 등록이 되어 있다고 보면 된다. 그렇기에 로고 디자인을 하고, 제품에 이름을 부착하기 전에 ‘상표 등록’ 가부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안타깝게도 상표 등록은 바로 되거나 가능성을 바로 알기는 어렵다. 수개월이 걸리는 일이기 때문에 상표 등록은 미리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론칭 후에 상표 등록 불가판정을 받고 모든 것을 처음부터 다시 준비해야 할 수도 있다. 

상표 등록은 법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전문 변리사를 통해 검토받는 것을 추천한다. 그 전에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이 몇 가지가 있다. 

첫째, 구글이나 네이버에서 검색해본다. 둘째, 네이버 지도에서 검색한다. 웬만한 상표들은 등록돼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도메인 검색도 필수다. 브랜드 이름으로 된 도메인이 있을 경우, 상표 등록이 가능해도 도메인 이름으로 쓸 수 없기 때문에 난감한 상황을 겪지 않으려면 대비하자. 

넷째, 키프리스 검색이다. 기술이 필요한 부분이기는 하지만 단어를 검색해 보는 것만으로도 완전히 일치하거나 비슷한 이름은 없는지 알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좋은 방법이다.

특히 상표등록은 국내와 국가별로 나뉘기 때문에 수출까지 고려한다면 해당 국가의 변리사와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 좋다. 국내와 수출용 이름을 전략적으로 다르게 하는 것이 아니라면, 해당 국가에도 등록 가능한지 함께 살펴보는 것이 좋다.

네이밍, 브랜드의 핵심을 담아내는 것  

브랜드 이름이 꼭 거창한 뜻을 품고 있어야 하거나 그럴 필요는 없다. 브랜드 전략이나 컨셉에 따라서는 발음이 재미있는 이름이 될 수도 있고, 세상에 없던 이름을 찾다 무작위로 조합한 글자가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크리에이티브 역시 브랜드의 컨셉과 맞아떨어질 때 그 힘은 더욱 폭발한다. 

독특한 이름으로 눈길을 끄는 ‘프릳츠’는 별다른 뜻이 없다. 독특한 발음으로 선택한 이름이다. 유별난 이름만큼이나 브랜드 자체가 굉장히 흥미롭다. 사람들은 물개 캐릭터를 좋아하며 프릳츠만이 갖는 브랜드의 매력에 푹 빠졌다. 그 자체로 ‘프릳츠’가 되었다.

커머스 플랫폼 ‘29cm’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가장 적당한 간격이 29cm라고 해서 이와 같은 이름을 붙였다. 가깝지만 방해하지 않는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을 보여주는 이름이다. 하지만 이 역시 후에는 ‘커머스 미디어(Comerce Media)’라는 뜻으로 재정의하였다. 이렇듯 처음과 달리 그 의미를 새롭게 부여하기도 한다. 

또 다른 패션 플랫폼 ‘지그재그’는 이름에 그렇게 관심을 가지지 않았지만, 모델 윤여정 배우의 ‘왔다갔다 사는 거지’라는 말 한마디에 모두가 ‘지그재그’의 참된 뜻을 알게 됐다. 소비자 관점에서 그들이 원하는 바를 영리하게 가져와 브랜드의 개성 있는 이야기로 만들었다. 

오프라인 편집숍 ‘스트롤’은 지역 상권을 기반으로 편하게 구경하는 곳이 되면 좋겠다는 마음을 담아 ‘스트롤’, 그리고 독특성을 더하고자 원래 철자를 변형한 ‘strol’이라고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이렇게 브랜드가 하고자 하는 역할과 만든 사람의 염원을 담아 이름을 만들기도 한다.  

결국 브랜드 이름은 크리에이티브가 다가 아니다. 브랜드의 핵심, 즉 브랜드의 가치를 얼마만큼, 어떻게 보여주는 것인지 생각해 봐야 한다. 

처음부터 끝까지 독특한 브랜드로 기억되게 할 것인지, 우리가 하는 일을 보여줄 것인지, 소비자의 욕망을 품어낼 것인지 우리가 가장 집중하고 보여주고자 하는 것을 표현하는 것이다. 

브랜드 이름은 크리에이티브는 아니지만 우리의 가치를 잘 보여주는 것, 그리고 상표 등록이 가능한 이름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출처 : FASHION POST / www.fpost.co.kr

패션이 스트리밍 광고에 배팅하는 이유

Special

4e24a1aeb981a3458be323b17b162e97_1622439466_4431.jpg
 

훌루와 로쿠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 붐은 패션 브랜드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고 있다.

이러한 플랫폼을 활용하는 것은 단순히 제품을 파는 것이 아니라, 브랜드의 명성과 가치를 만드는데 더 많은 효과를 보게 될 수도 있다.

지난달 CBD(Cannabidiol) 뷰티 브랜드 로드 존스는 이집트 여왕이 로드 존스 제품으로 편안하게 목욕하는 30초 분량의 영상으로 첫 광고 캠페인을 선보였다. 이 캠페인은 옥외광고와 온라인 네트워크, 케이블 TV는 물론이고, 특히 스트리밍 네트워크에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 브랜드는 HGTV와 CNN 프로그램에 노출할 수 있는 스트리밍 앱 광고를 계약했다. 로드 존스는 스티치 픽스, 더 리얼, 이오스, 달러 쉐이브 클럽 등 스트리밍 서비스에 투자하는 패션 뷰티 그룹에 합류하고 있다.

미디어 메트릭스 오션미디어에 따르면 훌루, 로쿠, 디즈니플러스, 아마존프라임과 같은 플랫폼과 NBC, CBS와 같은 전통적인 TV 방송사들이 출시한 플랫폼은 코로나 기간 동안 시청률이 20% 이상 상승했다.

스트리밍 서비스 플랫폼은 일명 ‘코드 커터’로 불리고 있으며 효율적인 스트리밍 콘텐츠를 선보이며 케이블 채널을 짓밟고 있다.

미국의 4천만 가구 이상이 그들이 원하는 콘텐츠를 스트리밍하고 한 달에 약 117시간을 시청하고 있다.

 

스트리밍 광고 전쟁 발발

스트리밍 전쟁이 일어나자 플랫폼 광고 효과를 실험하는 광고주들이 몰려들었다. 이러한 광고가 새로운 시청자들에게 다가가고, 그들이 이미 목표로 하고 있는 광고들을 소셜 미디어로 전환시키기를 희망하고 있다.

차이점은 스트리밍 광고는 여전히 소셜 미디어 마케팅의 포화 상태에 비해 상대적으로 붐비지 않은 공간이라는 점이다.

스트리밍 플랫폼 광고는 즉각적인 구매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멀리 봐야 한다. 

로쿠와 트위치에 스트리밍 광고를 하는 StockX의 디나 바리 마케팅 책임자는 “TV는 단지 하나의 화면일 뿐이지만 이것은 노트북, 휴대용 장치, 게임 콘솔, iPad, iPhone 등 차세대 소비자들에게 다가갈 수 있는 채널이 무궁무진하다.

이와 연계한 타겟팅 광고를 진행한다면 강력한 효과를 볼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비록 스트리밍 광고 시장이 아직 초기이지만, 성장까지 오래 걸리지는 않을 것이다.

전문가들은 브랜드들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기 전에 먼저 뛰어들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브랜드들은 스트리밍 광고가 고객 확보보다는 브랜드 인지도 구축에 훨씬 도움인 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디지털 광고 대행사 PMG의 나탈리 겔더트는 “스트리밍 플랫폼에 대한 광고는 즉각적인 구매를 유도하지 않는 롱테일 전략이며, 브랜드를 알리기 위한 소통에 가깝다”고 말했다.

 

스트리밍 광고의 장점

딜로이트에 따르면 미국 가정의 76%가 적어도 하나의 유료 스트리밍 서비스에 가입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021년 버라이즌 조사에 따르면 미국 성인의 47%가 신종 스트리밍 서비스에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업계 컨설턴트인 브래드 애드게이트는 “넷플릭스는 평판이 높은 콘텐츠로 그 기준을 상당히 높게 잡았고, 이제 스트리밍 플랫폼이 담아낼 수 있는 콘텐츠 수가 최고조에 달했다. 광고주들은 이에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드러브의 레베카 트래버조 부사장은 “훌루의 프로그램 ‘Little Fires Everywhere’와 ‘Mrs. America’ 프로그램의 광고를 진행하기로 했다. 이 광고가 방송되었을 때 웹사이트 트래픽이 거의 30% 이상 증가했다. 광고 적중률이 아주 높다”고 말했다.

“우리는 스토리 안에 여성들이 출연하는 프로그램이나 쇼에 광고를 진행한다. 광고가 어디로 가고 누구에게 가는지 의도적으로 집행하는 것이 훨씬 더 효율적이다.”

스트리밍 플랫폼의 장점은 쉽게 채널이 돌아가지 않는다는 것이다.

“스트리밍을 하는 사람들은 이미 그 프로그램에 사로잡혀 있고 말 그대로 그곳에 그대로 앉아서 프로그램을 본다. 그들은 완전히 몰입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 스토리텔링을 할 수 있는 더 좋은 기회가 주어진다.”

바리는 StockX가 디지털 마케팅 전략을 발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광고로 스트리밍 플랫폼 광고를 꼽는다.

특히 새로운 개인정보 보호법이 올해 광고 목표를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스트리밍과 소셜 미디어에서의 광고는 브랜드들이 서로 다른 장소에서 동일하게 보여질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단점도 있다

하지만 소셜 네트워크처럼 스트리밍 서비스에도 여전히 문제가 있다. 애드게이트는 브랜드 광고가 뒤섞인 케이블 TV에 비해 동일한 광고를 재생하려는 포맷의 성향에 시청자들이 쉽게 싫증을 낸다고 지적했다. 

또 브랜드들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확보할 수 있는 고객 데이터를 얻지 못한다.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하는 고객은 많지만 어떤 고객이 이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지 정확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한다.

TV는 정기적으로 인구 통계와 시청률 정보를 공유하는 반면 넷플릭스와 같은 플랫폼은 일반적으로 시청률을 비밀에 부치고 있다.

또 스트리밍은 황금 시간대가 없다. 이 공간의 수천만 콘텐츠는 언제든 볼 수 있지만 플랫폼에 국한되어 있다. 반면 TV는 여전히 오스카상과 같은 거대한 황금 시간대를 갖고 있다.

스트리밍 플랫폼들의 강력한 코드 컷팅에도 불구하고, 많은 케이블 방송사들은 스트리밍 플랫폼보다 약 두 배 정도 시청자를 확보하고 있다.

“스트리밍 플랫폼에 슈퍼볼은 없다.”

 

제품 판매를 통한 스토리텔링

스트리밍 광고는 고객 확보보다는 브랜드 인지도를 위한 도구로 활용된다.

광고기획사 하몬브러더스의 브라이슨 앨리는 “브랜드들이 제품을 팔지 말고 스토리텔링에 이를 활용해야 한다. 프로그램에서는 클릭할 수 있는 링크가 없기 때문에 가능한 한 기억에 남을 만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만들어야만 그들이 사이트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사람들이 쇼를 보고 있는 것은 연예인이 되고 싶기 때문이고, 그들을 계속 붙잡아두지 않으면 광고 중에 다른 곳을 보게 될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StockX는 스트리밍 플랫폼을 통해 가치를 높이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동안 우리는 제품에 초점을 맞추었고, 그 다음에는 실행이 뒤따랐다. 그러나 최근 로쿠에 광고를 진행하면서 더 큰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다. 우리는 스타일링과 인증에 대해 이야기하고 소비자들은 우리에게 그 작업을 맡길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로드존스는 뷰티 브랜드의 이미지를 스트리밍 시청자들에게 전달하기 원했다. 이를 위해 호흡이 거칠어지는 듯한 ASMR과 제품을 뿌리는 소리까지 담아 시청자들이 제품에 대한 감성적인 연관성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

“우리는 이 혁신적인 목욕 경험의 순간을 포착하고 싶었다. 이러한 광고들은 소비자들을 질리게 하지 않을 것이고, 특별한 느낌을 받게 될 것이다.”​ 

 

출처 : 패션포스트 / www.fpost.co.kr

서스테이너블 해빗 “지속가능의 시작은 우리로부터”

Special

0f500192d047ed1153fb97604df31a66_1620544827_5887.jpg
 

환경을 해치지 않는 패션 비즈니스, 동물 착취 없는 가죽과 퍼, 쓰레기를 재활용한 옷 등 지속가능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들은 많다.

이 방법들을 실현하는 이들의 마음가짐도 천차만별일 것이다. 마케팅 도구로 활용할 수도 있고, 진심으로 환경을 생각하는 마음으로부터 비롯될 수도 있다.

작년 2월 서울역 건너편, 남산 밑에 문을 연 서스테이너블 해빗은 시작부터 지속가능을 위한 공간으로 마련됐다.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아이템들이 한자리에 모인 이곳은 옷, 책, 공예품, 런드리숍, 세제 리필 스테이션 등 모두 지속가능을 그 안에 담고 있다. 

서스테이너블 해빗을 기획한 유동주 대표는 처음부터 지속가능한 라이프스타일과 주거 문화를 함께 보여줄 수 있는 곳을 찾다가 쉐어하우스를 준비 중인 지인과 함께 이 공간을 기획했다.

1층에는 서스테이너블 해빗을, 2층부터는 쉐어하우스 ‘커먼타운’이 위치해 있다.  

“쉐어하우스와 함께 생태적인 건물을 짓고, 지속가능을 취미로 가진, 관련 아이템을 만드는 분들과 그룹을 만들었어요. 그들이 만든 제품을 한자리에 모으고 커뮤니티를 만들자는 생각으로 이 공간을 기획했죠.”

 

서스테이너블 해빗, 지속가능의 실천

남산이 바로 보이는 넓은 마당을 지나 매장에 들어서면 바로 텀블러 키핑 스테이션이 보인다. 일회용 컵은 전혀 사용하지 않고, 고객들이 편하게 텀블러를 맡겨 둘 수 있는 공간이다.

서스테이너블 해빗에서 운영되는 카페는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를 추구한다. 카페에서 나오는 쓰레기를 최소화하고 있다. 플라스틱 빨대는 없다. 스테인레스와 대나무 빨때를 사용한다. 매일 소독하고 주기적으로 전문 세척 업체에 맡겨 관리한다.

물론 비용도 많이 들지만, 이미 음료 가격에 포함이 되어 있다. 환경을 지키자는 메시지를 여러 가지로 전달하고 있다.

카페 메뉴도 지속가능한 메시지를 전한다. 시그니처 커피 메뉴인 ‘Vanilla Bear(바닐라 베어)’는 지구온난화로 멸종 위기 동물이 된 북극곰을 떠올렸으면 하는 바람을 담아 만들었다.

‘Flamingo(플라밍고)’는 환경오염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로 개체 수가 급격히 줄고 있는 홍학을 떠올리게 하는 차다. 앞으로도 이런 메뉴를 하나둘씩 늘리며 멸종 위기 동물을 함께 돌아보는 계기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한다. 디저트 메뉴들도 유기농, 글루텐프리, 비건 같은 환경에 덜 해롭고 건강에 좋은 메뉴들로 구성된다.

이 매장에는 카페는 물론 책방, 런드리숍, 옷, 공예품, 소품, 가방, 세제 리필 스테이션 등 다양한 아이템들이 한 곳에 모여 있다. 이 아이템들 모두 지속가능을 실천하는 사람들의 정성과 뜻이 모여 만들어졌다.

&lt;옷, 가방, 모자, 머플러 등 패션 아이템과 공예품, 소품 등 다양한 지속가능 제품들이 한 데 어우러져 있다.&gt;

<옷, 가방, 모자, 머플러 등 패션 아이템과 공예품, 소품 등 다양한 지속가능 제품들이 한 데 어우러져 있다.>

우리로부터 시작되는 지속가능

서스테이너블 해빗과 이를 운영하는 소셜벤쳐 케이오에이컴퍼니 직원들은 자발적인 지속가능 실천에 앞장서고 있다. 우리가 지키고 싶은 ‘지속가능 습관 캠페인’을 자체적으로 기획한다. 지속적으로 지속가능한 습관을 기를 수 있는 캠페인을 만들고 먼저 실천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지난달 캠페인은 꽃 포장에 사용되는 물품들을 어떻게 줄일 수 있을지 고민하고 방법을 정해 실천하는 것이었다. 꽃 선물을 할 때 화병을 함께 선물하거나, 꽃다발을 만들 때도 어떻게 포장해야 포장지를 덜 쓸 수 있을지에 대한 의견들을 서로 나누고 실천하는 것이다.

또 ‘집에서 안 읽는 책 돌려보기’ 캠페인도 있었다. 안 읽는 책을 하나 가져오면, 비치된 중고책과 교환이 가능한 캠페인으로 안 읽는 책을 최대한 많이 돌려보자는 취지에서 마련되기도 했다.

워크숍도 진행한다. 코로나 때문에 잠시 보류되기는 했지만 천연염색 워크숍과 같은 행사를 계속 진행할 계획이다.

“작고 사소한 것들이기는 하지만 하나씩 실천해 나감으로써 이러한 움직임들이 주변 사람들에게 서서히 전파되는 것이 지속가능의 시작이 될 수 있다.”

 

계속되는 지속가능의 시도

지난달에는 세재 리필 스테이션이 새롭게 설치됐다. 세제 용기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역시 환경오염의 주범이기 때문에 이를 줄이자는 취지에서 기획됐다. 준비된 용기를 가져오면 저렴한 가격에 주방세제, 세탁세제, 섬유유연제 등 다양한 세제를 리필할 수 있다.

이를 기획한 플랜드비뉴의 김지숙 대표는 “평소에 갖고만 있던 생각을 실체화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는 소식을 듣고, 이 설비를 기획했다. 생활 속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폐기물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함께 고민하고 실체화할 수 있는 공간이 더욱 많아져야 한다.

리사이클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조금씩 바꿔나갈 수 있는 마중물이 되고자 한다”고 말했다. 생활용품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가 가장 심각하다. 생수병과 함께 가장 많은 양의 플라스틱 쓰레기를 배출하는 생활용품은 리필 형태로 판매되기도 하지만 용기 판매가 압도적으로 많은 상황이다.

생활용품에 사용되는 PP 소재는 분해해서 재활용할 경우 아주 튼튼한 가구를 만들 수 있다.

문제는 색깔별로 구별작업이 불가능해, 재생된 가구들의 색이 마블링된 것밖에 만들 수 없기 때문에 재활용이 힘든 상황이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세재 리필 스테이션은 처음 전자동으로 만들어져 서스테이너블 해빗에서 서비스를 시작했다.

0f500192d047ed1153fb97604df31a66_1620545018_9637.jpg

<일회용 컵을 사용하지 않는다. 텀블러를 보관할 수 있는 키핑 스테이션이 마련되어 있다.>

옷의 생애주기를 늘리자

유동주 대표는 패션에 크게 조회는 없지만 옷 선택에 개인적인 철학은 있다. 단색과 단일 섬유로만 된 것만 입는다. 조금이나마 염색에 사용되는 물과 의류 폐기물을 줄일 수 있다는 생각에서다. 

유 대표는 ‘의류 폐기물을 어떻게 없앨 수 있을까? 재고를 남기지 않기 위한 방법은 무엇일까?’라는 고민을 항상 머릿속에 담고 있다.

가장 먼저 적용한 방법은 프리오더다. 재고를 남기지 않고, 선주문을 받은 만큼만 생산하는 것이다. 또 재료를 조금이라도 남기지 않는 3D 니팅 방식을 택하고 있다.

또 기부하는 옷들을 재활용하는 방법도 고안했다. 캐시미어의 경우 동일한 소재를 수거할 수만 있다면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자사 캐시미어 제품을 원활하게 회수하기 위해 자체 앱을 개발했다. 옷에 QR코드를 모두 넣어 회수를 용이하게 하고, 소비자가 옷을 사면 이 옷에 대한 정보와 함께 모든 정보의 조회가 가능하다.

BCG의 조사에 의하면 소비자가 옷을 하나 사서 버리기까지 평생 입는 횟수는 고작 7번 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

유 대표는 옷의 생애 주기를 늘리기 위해 자사 제품을 20회 입으면 신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쿠폰을 주고, 가지고 있던 옷은 안 입게 될 경우 회수한다. 그렇게 회수된 캐시미어 제품을 재활용해 재생 캐시미어를 만든다.

“수거만 원활하다면 재생 캐시미어를 만드는 비용이, 천연 캐시미어를 채취하는 비용보다 훨씬 저렴하다. 새 제품을 만드는 것보다 입던 옷을 다시 재활용하는 것이 환경에도 훨씬 이롭다.”

캐시미어는 물론 모든 아이템을 종류별로 색깔별로 반납할 수 있도록 앱을 만들어 이달 론칭한다. 제품의 생애 주기를 늘려서 사람들이 자주 입게 하고 종류, 소재별로 회수해 다시 활용하는 서큘러 패션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lt;지속가능에 대해 항상 고민하는 소셜 벤쳐 케이오에이 유동주 대표와 세제 리필 스테이션을 만든 플랜드비뉴 김지숙 대표.&gt;

<지속가능에 대해 항상 고민하는 소셜 벤쳐 케이오에이 유동주 대표와 세제 리필 스테이션을 만든 플랜드비뉴 김지숙 대표.>

동물 학대 없는 ‘르 캐시미어’

유동주 대표가 직접 운영하는 지속가능 캐시미어 브랜드 ‘르 캐시미어’는 동물 학대 없이 털을 수급한다. 

동물의 털을 강제적으로 깎지 않고 빗질을 통해 저절로 빠지는 털만 채취한다. 추운 겨울 동안 자란 속털이 3~4월경 빠지는데 이를 자연스럽게 빗질해서 채취한 것만 사용한다.

털을 강제적으로 깎을 경우 순수한 캐시미어만 채취하기는 쉽지 않다. 털이 섞이면 품질이 좋지 않아진다. 또 깎아서 채취할 경우 털이 두꺼워지고 부드럽지 않아지는 것도 지속가능을 방해하는 요소가 된다.

일부 캐시미어 농장에서는 대량 생산을 위해 DNA 변형을 통해 양을 기르고 캐시미어를 채취하기도 한다. 이는 전혀 동물 친화적인 방법이 아니기에 스트레스를 주면서 양을 기르는 방법은 동물 학대가 되기도 한다.

초지도 관리한다. 지역을 A, B, C로 나눠 해마다 양들이 이동해 가면서 풀을 뜯을 수 있도록 순환 방목을 한다. 양들로 인해 환경이 파괴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르 캐시미어’는 수거된 다양한 캐시미어 제품들로 새로운 제품도 준비 중이다.

겉감은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해 만든 원단을 사용하고, 폐캐시미어를 부수어 솜처럼 만든 충전재를 넣은 다운 점퍼를 만들 계획이다. 모두 수거한 캐시미어를 활용해 만들었으며 올 겨울 출시를 앞두고 있다. 

0f500192d047ed1153fb97604df31a66_1620545195_3355.jpg

<새롭게 설치된 세제 리필 스테이션. 플라스틱 용기 대신 공병을 가져와 합리적인 가격에 다양한 세제의 리필이 가능하다.>

지속가능의 확장

서스테이너블 해빗은 남산점에 이어 이달 말 두 번째 매장인 서울숲점을 오픈한다.

서울숲점은 지하부터 지상 4층까지 전체가 모두 지속가능 아이템으로 채워진다. 이 공간은 지속가능 쇼룸과 커뮤니티를 형성하기 위해 남산점과 똑같은 목적으로 만들어진다.지속가능에 대한 시도는 여러 방면으로 확장된다.

유동주 대표는 개발도상국의 생산처에서 만들어진 원재료를 확보해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만드는 작업에도 나선다.

“실질적으로 품질은 높지만 그 가치를 평가받지 못하는 개도국의 노동자들에게 정당한 값을 주기 위한 것이다. 몽골 캐시미어는 물론 베트남의 실크, 인도네시아 티크우드 등 여러 가지 아이템을 소싱해 국내에 적정한 가격으로 소개할 계획이다.” 물론 소싱하는 제품은 모두 친환경 제품이다.

“사실 아무리 우리가 지속가능을 외친다고 해도 소비자들의 인식이 한 번에 바뀌지는 않는다. 그러나 우리부터 이 같은 시도를 시작하고, 그 움직임이 서서히라도 퍼져 나간다면 다음 세대, 아니면 그 다음 세대에서라도 환경이 나아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고 싶다. SF 영화에 나오는 옷들을 보면 터치나 생각에 따라 생상과 디자인이 바뀌는 장면이 나온다. 그런 옷들이 나오기 전까지는 옷으로 환경이 오염되지 않도록 생각을 달리해야 할 것 같다.”​ 

 

출처 : 패션포스트 / www.fpost.co.kr

우리 ‘인스타그램’은 왜 반응이 없을까?

Special

&lt;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Emily In Paris(에밀리 파리에 가다)’는 기성 럭셔리 브랜드에서 추구하는 가치와 MZ세대들이 좋아하는 가치가 상충하는 내용이다. 마치 우리 이야기 같지 않은가?&gt;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Emily In Paris(에밀리 파리에 가다)’는 기성 럭셔리 브랜드에서 추구하는 가치와 MZ세대들이 좋아하는 가치가 상충하는 내용이다. 마치 우리 이야기 같지 않은가?>

 

혹시 우리 브랜드 인스타그램 계정이 뭔가 답답하고, 아쉽게 보인다면? 다른 브랜드들은 콘텐츠도 좋고, 자주 올라오는 듯 한데 왠지 우리만 조용한 것 같다면? 잘 나가는 인스타 계정을 보여주며 우리도 이렇게 잘해보자고 하면 마케팅 담당자는 기다렸다는 듯이 “여긴 월 얼마를 쓰고 별도 담당자도 있다.

우리도 관련 예산을 증액해야 한다”고 주장해서 오히려 궁색해진 경험이 있지 않은가. 특히 오프라인 유통에 집중돼있는 브랜드이거나 회사 대표일수록 깊게 공감할 것이다.

불과 20년 전만 해도 온라인 쇼핑에 관해 이야기할 때, 책이나 가전제품 같은 소비재는 규격이 표준화돼있고 상품에 대한 기대감이 동일하기 때문에 온라인 전환이 수월하지만, 옷은 제품마다 소재와 사이즈가 다르고 특히 핏감이 다르기에 온라인으로 구매하기가 어렵다는 이야기가 중론이었다.

하지만 지금 어떤가. 네이버쇼핑, 쿠팡 C-AVENUE부터 라이브커머스까지 온라인 쇼핑은 ‘패션’이 아니면 이야기가 되지 않을 만큼 대세가 됐다.
아울러 인스타그램 패션 브랜드 계정은 오프라인 유통에 맞춰진 우리 브랜드를 디지털로 전환해 보여주는 이정표가 됐으며 고객에게 우리 브랜드를 어필하는 주요 방법이 됐다.


  
잘 키운 인스타 계정 하나, 열 매장 안 부럽다

보통 인테리어 공사비용에 평당 약 350~400만 원 잡으면 20평 기준으로 7~8,000만 원은 나온다. 2년 감가상각을 고려하면 월 300만 원정도 비용이 든다. 그런데도 내셔널 브랜드 운영자 대부분은 오프라인 매장은 매출이 나오니 투자로서 가치가 있지만, 인스타그램은 브랜드 홍보 계정이기 때문에 비용으로 인식한다. 매달 300만 원씩을 홍보비로 지출하기엔 아깝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브랜드 인스타그램 계정은 전 국민이 찾아 들어올 수 있는 매장이다. 한 지역을 기반으로 한 매장은 잘 꾸며놓으면서 전 국민이 바라보는 매장이 조촐해서야 되겠는가.

혹시라도 온라인 매출이 높길 원한다면 퍼포먼스 광고 이전에 인스타그램 계정 운영비를 일단 책정하고 투자하라. 패션은 고객에게 판타지를 심어줄 때 구매 가치가 높아진다.

547d9ef3d7d0f87433fbbab5480ec89a_1617839589_2971.png

인스타그램 계정은 단순한 디지털 룩북이 아니다

오프라인 매장은 일반적으로 매장, 상품, 고객으로 구성된다. 소셜미디어의 브랜드 계정은 크게 콘텐츠와 관계 및 참여, 그리고 페르소나(Persona, 브랜드를 대표하는 인물)로 구성/운영되며, 이는 담당자뿐만 아니라 전 브랜드 담당자들이 챙겨야 할 KPI로 설정돼야 한다.

인스타그램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대부분의 브랜드는 인스타그램을 ‘룩북’의 연장선으로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요즘은 찾기 어렵지만 시즌이 시작될 무렵 백화점에 가면 매장 DP 테이블에 올려져 있는 룩북을 흔히 볼 수 있었다. 당시에는 시즌마다 1회씩 혹은 매년 2회씩 제작/배포됐다.

그러다 지금은 종이 카탈로그가 아닌 인스타그램에 콘텐츠로 한 장씩 올라가고 있으며 시작과 끝이 분명한 종이 카탈로그가 아니기에 하나로 연결돼있다. 브랜드 이미지를 전달하는 채널은 카탈로그(종이)에서 인스타그램(디지털)으로 바뀌었으나 메시지 제작 방식은 동일하다.

여기서 인스타그램 운영의 단순하지만 중요한 첫 번째 어려움이 발생한다. 바로 공급 콘텐츠 수량이다. 이는 오프라인 매장 및 룩북에 맞춰져 시즌 촬영이 기획돼있고 그대로 디지털 미디어에 노출하려해 생기는 문제이다.

브랜드 콘셉트에 따라 다를 순 있지만 대부분의 브랜드가 보여주는 룩북형 인스타그램 운영은 호응을 얻기가 어렵다. 그리고 개인 인스타그램 운영처럼 라이프 스타일형 인스타그램을 운영하고 싶어도 콘텐츠 수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시즌 캠페인을 연 2회 촬영하고도 인스타그램 업로드 콘텐츠 확보에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면 큰 문제가 없겠지만, 만약 캠페인 외 인스타그램 콘텐츠를 만드는 비용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다면 이제 연 2회 시즌 룩북을 촬영하기 위한 공력을 12회로 나누어 1년에 12회 월별 촬영으로 바꾸는 것을 추천한다. 또는 과감하게 계절별 비주얼에서 월별 비주얼 플랜으로 바꿔야 한다. 아니 2주에 1회씩 촬영하는 격주 기획이 나와야 한다. 그래야 살아있는 콘텐츠 플랜이 나온다.

소셜미디어의 본질은 ‘관계 맺기’…인게이지먼트를 높여라

앞서 말한 것처럼 콘텐츠만 잘 만든다고 해서 좋은 인스타그램이라고 할 수 없다. 소셜미디어의 정의를 한번 생각해보자. 이 부분을 명확하게 하지 않으면 계속 헛발질할 수밖에 없다.

소셜미디어(Social media)는 개인의 생각이나 의견, 경험, 정보 등을 공유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생성 또는 확장할 수 있는 개방화된 온라인 플랫폼을 말한다. 다시 말해 고객의 생각이나 의견을 궁금해하고 그들과의 관계를 생성하거나 확장하는 플랫폼이다.

SNS는 본래 일방적인 방식의 ‘나 이렇게 멋진 브랜드이니 동경해줘’라는 인식의 브랜드 홍보와는 태생이 다른 플랫폼이다. 고객 혹은 잠재 고객과 긍정적인 관계를 맺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브랜드는 대행사와 매주 2~3회, 월 10~15회 콘텐츠를 올리기로 계약 맺는다. 주말에 브랜드 콘텐츠가 올라오지 않는 이유이다. 하지만 고객은 토요일에도 일요일에도 인스타그램에 접속한다. 고객의 문의가 있거나 답변을 달아줘야 하는 형태라면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lt;색상이 짙을수록 고객들의 반응이 높은 시간대이다. 디지털 세상의 고객들은 쉬지 않는다. 낮이고 밤이고 주말이고.&gt;

<색상이 짙을수록 고객들의 반응이 높은 시간대이다. 디지털 세상의 고객들은 쉬지 않는다. 낮이고 밤이고 주말이고.>

솔루션이 있다면 먼저 다가가기, 말 걸기, 찾아보기

‘스노우볼팬더밍’의 저자 박찬우는 SNS상에서 긍정적으로 관계를 맺는 브랜딩 전략을 크게 5단계로 나누었다. △저변 만들기 △지지자 발굴 △지지자 연결 △팬으로 육성 △승급과 보상 순이다.

저변 만들기(Basing)는 고객에게 이야깃거리를 제공하고 자발적 후기를 독려하는 방법이며 지지자 발굴(Digging)은 직접 모집하거나 검색을 통해 발굴하는 방법이다. 지지자 연결은 해시태그와 뉴스레터, 온라인 카페 등을 통해 지지자를 결집하는 과정이다.

인스타그램에서 고객과의 인게이지먼트를 높이는 가장 쉬운 방법은 일단 우리의 콘텐츠에 ‘좋아요’를 다는 고객들의 계정에 우리 역시 ‘좋아요’를 눌러주는 것이다. 그리고 댓글을 달아주면 고객들은 자연스럽게 반응한다. 또는 해시태그 검색으로 우리 브랜드를 착용하고 인증하는 고객들과 소통하는 것은 사소하지만 고객과의 관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핵심 방법이다.

인스타그램 포스팅은 노출 알고리즘으로도 연결되는데, 올린 브랜드 게시물을 고객들이 광고로 인식하는 경우 반응은 높지 않게 나타난다. 하지만 고객과 관계 형성이 탄탄하게 이뤄지면 고객들은 ‘좋아요’ 및 댓글을 달거나 리포스팅해 본인의 계정에 올리기도 한다.

&lt;출처 : 키워드툴&gt;

<출처 : 키워드툴>

인게이지먼트를 최대치로 높이면 브랜드 팬덤이 생겨난다

마지막으로 인스타그램 계정 운영 관리의 궁극적인 목표는 ‘페르소나’ 창출이다. 페르소나는 개인이 사회생활 속에서 겉으로 드러내는 자신의 본성과는 다른 태도나 성격이다.

우리 브랜드를 이용하는 고객들이 반길만한 뮤즈 혹은 실제 운영자의 프로필을 공개하고 현실에서 만날 수 있는 캐릭터를 보여주어 관계 형성에 기여하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 운영자의 프로필 공개가 부담된다면 가상의 인물을 내세워도 무방하다. 빙그레의 빙그레우스는 이러한 페르소나 창출을 통해 팬덤을 일으켰다.

즉 ‘양질의 콘텐츠가 커뮤니케이션 역량과 합해지면 최대치의 인게이지먼트가 활성화된다. 여기에 페르소나를 얹히면 팬덤이 일어난다’로 정리할 수 있다.

547d9ef3d7d0f87433fbbab5480ec89a_1617839784_6957.png

SNS 운영 성공방정식
(콘텐츠 + 커뮤니케이션 역량) × 페르소나 = 브랜드 팬덤

인스타그램 외에도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카카오스토리부터 최근에는 틱톡, 클럽하우스까지 SNS 미디어는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다. 전문가들이라면 뻔히 들을만한 이야기이지만 이제야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노력을 기울이는 브랜드 담당자라면, 채널의 다변화와 무관하게 콘텐츠와 인게이지먼트 그리고 페르소나까지 필히 염두에 두고 KPI를 설정해보길 바란다. 아마 SNS 담당자는 당신의 날카로워진 질문에 진땀을 흘리게 될 것이다.

 

출처 : 패션포스트 / www.fpost.co.kr

2021 FW 패션위크 TOP 10 트렌드

Special

스크린샷 2021-03-17 오후 2.39.42.png
 

2021년 가을 컬렉션은 비대면 디지털 패션 주간을 의미한다. 우리가 이번 컬렉션의 다양함에 대해 말해보자면, 표현 방법이 어떻던 간에 우리의 몸에 가깝게 붙어있는 스타일을 선호한다는 것이다.

프라다에서는 모델들이 걸쳐있는 옷을 움켜쥐고 있었고, 드라이스 반 노튼의 댄서들은 가슴까지 내려오는 옷을 잡고 있었으며, 마린세레의 영상과 룩북에서는 친구들과 가족들이 서로를 잡고 있는 이미지를 표현했다. 2010년대 패션을 정의하는 차가운 세련미와 과감한 스타일링은 따뜻함, 함께함, 그리고 기능성으로 대체되었다.

 

Collage Therapy

 

가브리엘라 허스트, 마린 세레, 코치의 스튜어트 베버스와 같은 디자이너들은 사용하지 않는 천 조각들을 함께 패치하여 코트, 드레스, 그리고 상의를 만들었습니다. 이 콜라주 의복은 지속 가능성을 지향할 뿐만 아니라, 스타일을 통한 개인적인 표현에 더 가까운 새로운 미학이라고 할 수 있다.

 

Life Is a Cabaret—Dress for It

 

유럽 전역에 화려함이 고조되고 있으며, 화려하지만 유난스럽지 않게 재등장한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미우치아 프라다와 라프 시몬스는 세틴과 술에 승부를 걸었고, 드리스 반 노튼은 태페타 볼륨과 약간의 빈티지한 글리츠를 다시 가져오고 있다. 록의 틴젤과 마르니의 초현실적인 비율이 대세를 이루며, 가을엔 뱀파이어 스타일이 등장할것이 확실해 보인다.

 

One-Piece Wonders

 

캣수드는 만능이다. 톰 포드와 라 콴 스미스의 손에 의해 그것은 가장 섹시하고 가장 아름다운 의복이 되었다. 유한왕, 오톨링거, 마이시 윌렌 등이 세련된 패턴과 기묘한 느낌의 원피스를 선보였고, 에르뎀의 발레 스타일 커버업은 WFH 1주간의 라운딩에 안성맞춤인 것 같다. 취향에 상관없이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2021년 가을 1세대이다.

 

Pleats, Please

 

최근의 파워슈트는 플리츠 스커트와 세트로 변모했다. 3.1 Phillip Lim, Plan C, Schiaparelli의 선택은 파워넘치며 스타일리쉬하고 오피스에 잘 맞는 반면, Chopova Lowena, Colina Strada, Arthur Arbesser는 더욱 대담하게 연출된다.

 

Signs of the Times

 

눈에 띄는 로고 마니아의 인기는 떨어지고 있지만 브랜딩은 여전히 중요하다. Versace는 2021년 가을 컬렉션에서 새로운 종류의 로고, 즉 전체 키 프린트를 선보였고, Givenchy는 연동된 G그래픽으로 전신을 뒤덮었으며, Fendi는 슬립과 스타킹에 예전 FF 로고를 되살려 보여주었다.

 

Pop Princesses

 

밀레니얼 시대의 향수가 극에 달해 잇걸-아우츠 스타일의 시절을 되살리고 있다. Blumarine, Conner Ives, Alyx, 그리고 Roberto Cavalli는 누구나 브리트니, 엑스티나, 머라이어, 2020년대 두아 리파, 파리나 사와야마로 변신할 수 있는 파스텔 미니드레스와 크리스탈 티아라, 그리고 비즈 조각의 형태로 선셋 스트립의 달콤함을 보여주고 있다. "XS"이 딱이다.

 

Wrap Party

 

담요가 옷이 아니라고 누가 그랬는가? 조나단 앤더슨의 정교함은 확실히 이를 가능케 한다. 폰초스와 케이프는 가브리엘라 허스트, 앨버타 페레티, 그리고 미소니에서 부활했다. 스텔라 진은 유엔 농업 기구와 협력하여 그녀의 랩에 공예가들을 고용했다.

 

Ski Bunnies

 

자연은 코로나 유행 기간 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피난처가 되어왔다. 다음 겨울이 올 때쯤이면, 우리는 슬로프를 타고 밖으로 나가고 싶은 충동을 실현하게 될 것이다. 미우미우와 톰 브라운은 모두 부풀린 옷들과 액세서리를 매치해 산 정상에서 공연을 펼쳤고, 지방시, 크리스찬 디올, 샤넬은 스키장 스타일의 페어아일랜드 니트 등을 제공했다.

 

Flashbulbs

 

전구처럼 생긴 거품 같은 모양은 일찍부터 유행하기 시작했다. 2021년 가을, 실루엣은 부드러운 로미오 지글리 스타일에서 엉덩이와 허벅지에 중점을 둔 펌핑된 오보이드 형태로 바뀌었다. 여성스럽고 보호적인 이 새로운 스타일들은 피부 밀착 실루엣의 유행으로부터 아늑함과 약간의 판안함을 제공한다.

 

Low-Slung Jeans for High-Stress Times

 

추리닝은 영원하지 않다. 발렌시아가, Y/Project, 그리고 떠오르는 런던의 레이블 자와라 앨리네에의 와이드 레그 청바지가 가을의 핵심 룩으로 떠올랐다. 이 널찍하고 튼튼한 바지는 유행 후 우리의 삶에 가장 이상적인 바지가 아닐까?

 

출처 : vogue.com

루이까또즈가 젊은 뮤지션들과 음원을 발매한 이유

Special

1a32f829411c5754407760ee00efaff1_1615090565_8695.jpg
 

가수 박재범이 만든 뮤직 레이블 하이어뮤직은 소속 프로듀서 그루비룸과 함께 작년 6월부터 특별한 음원을 발표했다. 이들은 코로나로 어려운 상황 속에서 힘들게 살아가고 있는 젊은 세대들에게 꿈과 희망, 용기와 응원을 주자는 취지 음악을 만들었다.

‘FIND YOUR LIGHT’(이하 FYL)라는 이름이 붙은 이 프로젝트는 작년 5월부터 시작돼 지난 2월까지 주기적으로 곡을 발표해왔다. 넉살&던밀스의 색대로살아, 하온의 데이라이트, ph1의 팔레트, 후디의 FOLLOW THE LIGHT, 골든의 플라이, 쿠기의 번(BURN) 등 6곡이다.

하이어뮤직은 곡을 내놓을 때마다 관련 영상을 유튜브에 공개하고, 젊은 친구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면서 소통하기 원했다. 

음원과 함께 티져 영상부터, 음원 스포일러, 출시 이후 인터뷰 영상, 에필로그, 스페셜 에디션 언박싱(unboxing) 영상 등 다양한 볼거리와 재미를 담고 있다. 단순히 재미뿐만이 아닌 힘든 일상 속에서 음악으로 힐링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했다는 평이다.

1a32f829411c5754407760ee00efaff1_1615090586_0142.jpg

희망의 메시지 담은 음악

ph1의 언박싱 영상의 경우 조회 수가 50만이 넘을 정도로 관심을 모았다. 유튜브 총 조회 수 1,934,723회. 좋아요 54,923개. 댓글 4,460개가 달렸다.

후디의 FOLLOW THE LIGHT 영상에 ‘우리 모두 각자 가지고 있는 빛이 다르지만 빛의 오묘함과 현실이라는 어둠 때문에 스스로의 빛을 잃어버리는 것 같아요. 왠지 모르지만 답답했던 마음이 풀리고 편안해져요’라는 댓글이 달리기도 했다.

이처럼 젊은이들을 응원하고 힘을 북돋아 주는 음악 콘텐츠의 뒤에는 의외의 패션 브랜드가 함께하고 있었다. 바로 핸드백 브랜드 루이까또즈다.

1a32f829411c5754407760ee00efaff1_1615090668_8525.jpg

가방 브랜드가 왜?

루이까또즈는 왜 뮤지션들과 함께 젊은이들을 위한 음원을 만들었을까? 사실 그동안 패션 브랜드들은 소셜이나 유튜브 채널을 통해 직접적으로 제품을 홍보하고, 연예인 협찬을 통해 그들의 인지도를 빌어 실질적인 매출을 올리는 데만 급급했다. 

그러나 루이까또즈는 당장 매출을 의식한 마케팅이라기보다 젊은 세대들과 소통하고 그들의 언어와 음악으로 접점을 만들고, 그들이 선망하는 아티스트들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방법을 택했다.

직접 나서 하이어뮤직과 계약을 맺고 국내외 팬덤을 가진 프로듀서 그루비룸에게 곡 작업을 맡기고,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힙하다는 뮤지션들과 함께 음원을 만들어냈다.

반응이 좋았다. 소통을 위한 음악 콘텐츠를 통해 그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한 것이다. 이들의 음악은 대부분 신나는 리듬의 힙합 장르이다. 클럽에서 흘러나올 법한 비트에 젊은이들이 반응할 수 있는 음악이었지만, 코로나로 인해 음악을 맘껏 틀지도 못했다.

아쉬운 부분도 없지 않았지만 온라인을 통해 음원을 발매하고 그들과 소통했으며, 해외 팬들도 응원의 메시지를 보냈다. 물론 브랜드를 전혀 노출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뮤직비디오 말미에 루이까또즈가 함께 했다는 ‘프리젠트 바이 루이까또즈’ 문구를 넣기도 했다.

1a32f829411c5754407760ee00efaff1_1615090575_9149.jpg

달랐던 소셜 마케팅의 목적

루이까또즈는 뮤지션들을 위한 스페셜 에디션을 만들고 전달하면서 언박싱 영상을 함께 넣기도 했다. 유튜브나 인스타그램 게시물에는 티나지 않게 소소한 해시태그와 캠페인의 목적을 담은 메시지를 전달했다. 특정 상품을 대놓고 알리는 것이 아닌, 뮤지션들을 지원하고 그들과 함께 콘텐츠를 만들어 공유하고 소통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가수들 역시 큰돈을 받고 작업에 임한 것이 아니라 좋은 취지를 듣고 함께 하고자하는 마음으로 작업에 참여했다. 브랜드를 알려야 한다는 부담감 없이, 자신들이 하고 싶은 음악을 할 수 있도록 장(場)을 마련한 것이었다. 가수들마다 가사나 음정, 박자는 달라도 톤앤매너는 하나로 통일됐고,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도 한결같았다.

루이까또즈 관계자는 “기성 브랜드가 젊은 층에게 다가간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들이 좋아하는 것과 문화를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그들을 대상으로 비즈니스를 한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 천천히 그들과 소통하고, 공유하고, 접점을 찾아가는 중이다”라고 말했다.

 

출처 : 패션포스트 / www.fpost.co.kr

DOOR가 선정한 Top 12 fall 2021 show

Special

prada-po-rf21-full-look-scaled.jpg
 

2021년 가을 패션쇼는 시즌 최고의 쇼들은 위대한 예술가들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것이다.

지난해 세계적인 코로나19의 유행으로 비롯된 패션계의 혼란은 그 어느 때보다 쇼의 존재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만들었고,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들은 이 상황을 기회로 만들기 위해 모두 최선을 다하였다.

많은 브랜드들이 예술가와 함께하는 작업의 의미를 미래를 향한 도약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이번 시즌은 이러한 의미에서 너무나도 미래 지향적이다.

다음은 브랜드의 시즌 컬렉션 뿐만 아니라, 영상과 공간의 예술성, 그 아름다움과 진보적 크리에이티브를 기준으로 한 2021년 fw 탑 12 패션쇼이다.

*알파벳 순으로 나열

 

balmain

 

발망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올리비에 루스테잉은 "목적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어딘가로 가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요점은 어디인지가 아니라 실제 목적지인 여행, 출발, 탈출입니다."라고 말했다.

최근 이용률이 저조한 에어프랑스 777의 샤를 드골 공항 인근 비행기 격납고에서 촬영된 루스테잉의 영상과 컬렉션은 곧 어디론가 떠날것에 대한 욕구를 더욱 북돋았다. 피에르 발방의 전후 여행(에어프랑스 여행)에서 영감을 얻은 목베개 귀걸이와 핸드백, 종이비행기 여행가방, 작업용 컴퍼넌트 등의 위트 있는 액세서리들이다.

BAL 021편의 최종 목적지는 마침내 루스테잉 기장이 우리를 지구와 달 사이의 디지털 활주로 플랫폼으로 안내하며 모습을 드러났다. 그는 "현재를 사랑하면서도 더 나은 미래에 대해 매우 흥분하고 있다."고 말했다.

 

Christian Dior

 

옷을 입고 꾸미거나, 심지어 어떤 날에는 거울을 볼 이유도 없이, 지난 한 해는 과부하가 걸린 허영 문화를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였다. 이제 우리는 옷장 재정리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러나 소셜 미디어 시대의 자아 중심적 사고방식, 즉 "So-Me"는 또 다른 것을 원한다.

집에 국한된 디지털 나르시시즘은 아이폰 캡쳐로 얻은 꾸며진 자화상에서부터, 거울 셀카에 이르기까지 시대를 초월한 매력을 더욱 심화시켰다. 영상 통화 시, 우리는 우리 자신의 섬네일과 끊임없이 마주하게 된다.

디올의 치우리는 이탈리아의 예술가 ‘실비아 지암브론(Silvia Giambrone)’의 작품들을 홀에 늘어트렸다: 거울은 미녀와 야수에나오는 가시들로 가득 차있였고, 반사를 가리기 위한 코팅을 해놓았다.

미녀와 야수의 우울한 허영심은 현대적 상황을 해석하도록 영감을 주었다. 그녀는 18세기 베르사유에서 찰스 페롤트가 재녹음한 이야기들, 신데렐라, 빨강망토, 그리고 잠자는 숲속의 공주와 같은 동화들을 주제로 컬렉션을 층층이 쌓았다.

얼마나 많은 동화들이 소셜 미디어 시대에 반영될 수 있는 나르시시즘과 식탐에 관한 주제를 다루었는지 궁금하다. 우리가 이전의 삶으로 되돌아갈 준비를 하고 있을때, 아마도 그들의 허영심에 대한 이야기는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나는 무서운 원작 동화들이 더 좋습니다. 이것은 젊은이들에게 세상에서 일어나는 일을 가르치는 방법입니다," 라고 치우리는 말했습니다.

 

Chloé

 

가브리엘라 허스트의 첫 쇼는 마치 익숙한 두명의 아이들이 눈앞에 나타난 광경을 보는것 같았다. 허스트는 그녀의 클로에 컬렉션을 "아프로디테"라고 불렀는데, 이는 관능적이고 장난기 많은 여성스러움 대 영웅적이고 현명함이라고 할 수 있다. 두 가지 모두 허스트의 상징적 글로벌 청교도주의에 의해 나타났지만 클로에의 부르주아 보헤미안에 대한 그녀의 입장은 본인 브랜드의 수도원적 모더니즘보다 훨씬 더 걸리쉬하며 발랄했다.

현재 파리 통행금지 상황의 기회를 포착한 허스트는, 그녀의 모델들이 클로에 창업자인 고(故) ‘Gaby Aghion’이 그녀의 초창기 수집품 중 일부를 선보였던 Brasserie Lipp에서 나와 생제르맹-데-프레의 자갈길을 가로질러 걸어가는 모습을 영상으로 담았다.

 

fendi

 

펜디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첫 여성 기성복을 위해 킴 존스는 로마의 주택에서 가장 의미 있는 것들을 이야기 하였다.

펜디는 정확히 어디서 시작했을까? 로마 그 자체처럼 이 브랜드에는 디자인, 역사적인 랜드마크, 그리고 매혹적일 정도로 아름다운 풍경들이 가득하다. 또한 로마와 마찬가지로 펜디는 하루 아침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모델들은 다수의 조각상들이 흩어져 있는 F자 모양의 공간을 거닐었다. 그 외양은 도시의 브론즈 색상과 펜디의 전통적인 컬러중 하나인 뉴트럴 색조로 되어 있었다.

 

isabel marant

 

위기는 희망을 낳고, 희망은 도피주의를 낳으며, 도피주의는 미래주의를 가져다 준다. 이 말은 이자벨 마랑이 코로나 시대에 자신의 두 번째 여성 컬렉션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했던 단어이다.

마랑은 "최근에는 디자이너들에게 옷을 보여주고 다른 스타일을 표현하는 새로운 방법을 경험할 수 있는 더 많은 시간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점점 더 하나의 트렌드가 아니라 다른 방식으로 패션에 접근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라고 말했다.

오히려 복고적인 마랑의 미래지향적 전통과 우주선 카우보이들은 그녀에게 미래의 삶을 바꾸는 기술에 대한 80년대의 해답을 떠올리게 했다. 그녀는 휴대용 카세트 플레이어를 쇼 초대장으로 보냈다. 재생을 누르자 테이프에 마란트의 목소리가 나오며 이어서 쇼 사운드 트랙이 들린다.

코로나의 한가운데에서도 로봇이 화성에 착륙하는 이 시점에서, 우리의 실제 옷들은 어떻게 미래주의로 바뀌게 될까?

 

loewe

 

조나단 앤더슨은 말했다. "제가 필요로 하는 것이 바로 색채 요법일 것입니다."

여러분은 이미 패션이 시각적으로, 그리고 새로운 아이디어로 여러분을 자극하는 요소라는 것을 알고 있을것이다.; 다시 말해, 패션의 재미와 행복감을 다시 한 번 받아들여야 할 때이다. 적어도 우리 자신을 상상할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사람들이 항상 럭셔리 패션을 냉소적으로 보는 것처럼, 엔도르핀을 분비하는 무언가가 여러분을 다시 기분 좋게 합니다,"라고 앤더슨은 말했다. 또한 그는 "저는 사람들이 다시 옷을 입고 외출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갖게 하는 데 있어 패션의 역할이 중요해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시즌 컬렉션의 요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믿으면 그렇게 될 것입니다."

 

louis vitton

 

게스키에르는 다프트 펑크의 대히트곡 "어라운드 더 월드"의 곡에 맞춰 고대 로마, 그리스, 에트루리아 조각상들과 뒤섞인 곳에 그의 모델들을 위한 런웨이를 만들었다. 컨택하기 어렵기로 악명높은 이 듀오는, 몇 주 전 이 음악을 사용하는 것에 동의했다고 그는 말했다.

또한 이탈리아의 디자인 아틀리에 포르나세티와 공동으로 작업했으며, 그들의 손에서 탄생한 고대 여성들이 모든 종류의 옷과 가죽제품으로 빛을 발했다. 비록 우리 모두 노트북 화면과 스마트폰으로 이 장면을 보고 있었지만, 정말 생동감이 넘치는 쇼였음에는 틀림이 없다.

"우리 모두는 자유롭게 외출할 수 없는 상황에 있기 때문에, 우리는 앞으로의 놀라운 여정에 우리의 상상력을 배가시켜야 한다,"라고 게스키에르는 시사회에서 말했다. 2021년 후반의 반전을 기대하며 패션은 완전히 오프라인 지향적으로 변하고 있다.

 

miu miu

 

미우치아 프라다는 산을 좋아한다. 그녀는 디지털 기자 회견에서 패션위크의 가장 멋진 플래시백 상을 수상하며 "어렸을 때, 비키니를 입고 스키를 타러 갔을 때를 기억합니다"고 회상했다. 올 시즌, 그녀의 프라다 컬렉션은 우리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패션 사고방식을 보여주었다. 돌로미테스의 코르티나다암페초에 유난히 눈이 많이 내린 것을 알게된 그녀는 미우미우 컬렉션에 아웃도어 감성을 가득 담았다.

문자 그대로의 실내에서 실외복으로의 가장 분명한 전환이었다: 예전 세상에서는 용맹한 사람들을 위한 자기 보호를 위해 옷을 입겠지만, 미우 미우 컬렉션은 그것보다 훨씬 더 계층적이다.

그들은 이 인상적인 영상의 제작에 대해 "어렵고도 용감한 프로젝트"라고 묘사했다. 프라다는 파노라마 촬영과 클로즈업 사이의 대조를 "인간의 디테일과 자연의 웅장함"의 관계라고 말했다.

영상은 눈 속에서 모닥불을 피우는 의식에서 절정을 이루었다. 지난 1년간의 세계가 지나고 다시 모두와 연결된 듯한 자연에 대한 존경을 담은 러브레터같은 이교도적인 느낌이 들었다. "자연은 여러분을 치유하는 유일한 것입니다,"라고 프라다는 말했다. "저는 산에서의 모험을 좋아합니다."

 

prada

 

패션은 지난 12개월 동안 많은 문제들을 당면해 왔으며, 그 참담함은 경제를 넘어 실존적 의문들로 제기되어 왔다. 사회적 상호작용이 없는 세상에서 패션이 중요한가?

라프 시몬스가 미우치아 프라다의 공동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합류한 가운데, 그녀는 Q&A 프라다 발표 후 가진 작은 기자회견에서 "낙관이 고조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이러한 변화는 백신과 또 다른 봄이 시작되면서 필연적으로 긍정적 기분이 드는 것, 또는 프라다와 시몬스가 공동으로 찾고 있는 즐거움을 원인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번 컬렉션은 패션이 변화하고 있는 시기에 핵심적인 방법론적 쇼케이스였다. 편의성은 우아함의 반전이며, 2021년에는 과거와는 달리 두 가지 모두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rick owens

 

2021년 가을은 릭 오웬스와 그의 이탈리아 팀 베네치아 리도의 3번째 시즌으로, 그는 페이스타임 통화에서 "관객 없이 쇼를 하는 것은 일종의 사적인 의식이 되고 있습니다"고 말했다. "달콤한 맛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의 웹사이트에서 이 쇼의 라이브를 보면서 떠오르는 단어는 달콤함이 아니다. 영화적, 다른 세계관, 그리고 슈퍼히어로가 더 적합하다. 오웬스의 모델들은 리도의 안개 속에서 난파된 우주선에서 나타난 멋진 외계인 부대처럼 보였다.

오웬스는 그의 컬렉션을 코로나 시기의 방호복, 유비쿼터스복과의 편안함과 오트쿠튀르의 웅장함을 융합한 컬렉션으로 바꾸었다. 이번 시즌에는 이 쇼의 클로징룩보다 더 화려한 가운을 찾기 힘들 것이다.

 

Salvatore Ferragamo

 

폴 앤드류는 지난 시즌 루카 과다니노와 함께 작업한 영화 연출을 좋아했었고, 가을을 맞아 그는 그 경험을 재현하고 싶어했다. 이번만은 그가 감독이다.

그는 피렌체에 있는 살바토레 페라가모 본사에서 줌을 하며 "나는 기본적으로 공상과학 영화를 만들었습니다"고 농담조로 말했다. 그의 컬렉션을 보여주는 비디오는 정교한 가상현실과 CGI에서 촬영되었고, 컬트 영화 ‘가타카’에서 영감을 받은 터널, 미래지향적인 도시로 통하는 우주선들, 그리고 유리 프리즘이 빛의 광선을 굴절시키는 원형 플랫폼들이 있었다.

"저는 페라가모 설립자가 그랬던 것처럼 충분히 경계를 넓히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라고 앤드류는 말했다. "그는 놀랍고, 미래지향적인 힘이 있었습니다. 이 컬렉션은 젊은 관객들에게 브랜드를 소개하기 위한 초대장입니다. 살바토레의 사고방식을 수용하는 것이 우리 미래의 핵심입니다."

 

valentino

 

피어파올로 피치올리의 2021 가을 컬렉션은, 코로나19가 시작된 이래로 일반 대중에게는 오픈되지 않았던 밀라노의 역사적인 피콜로 티트로의 무대에 올려졌다. 피치올리는 강당의 어둠 속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일시적으로나마 재개장을 했다는 것은 일종의 펑크 행위"라고 말했다.

발렌티노의 쇼는 시각적으로 강렬한 경험으로, 사치스러운 감정이 겹쳐진다. 그의 접근 방식은 직접적이고, 개인적이며, 진정성이 느껴지며, 컬렉션은 간결하고 날카로웠다. 헴은 거의 실재하는 듯한 몸짓으로 급격히 짧아졌다.

일편단심, 흑백으로 표현되고 가끔 음소거된 금빛이 뿜어져 나오는 작품들은, 피치올리가 그토록 흠잡을 데 없이 만들어온 발렌티노의 쿠튀르 천재의 새로운 명제처럼 느껴졌다.

 

참조 : vogue.com